울산 해상풍력단지 추진

대선공약 건의…조선 인력 재고용 1석2조 효과 기대

해상 풍력발전의 모습(이미지)


침체를 겪고 있는 조선·해양플랜트 산업에 대한 대안으로 울산시가 해상풍력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기존 기술인력과 시설을 활용할 수 있어 정부의 국책사업으로 적합하다는 평가다.

울산시는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 실증화 단지 조성을 각 정당과 대선후보에게 제시해 대통령 선거공약 사업으로 건의키로 했다고 15일 밝혔다.


울산시에 따르면 지반에 고정하지 않는 부유식은 해안에서 4㎞ 이내에 수심 40m 이상이 되야 하는데 울산 앞바다에서 포항 호미곶까지가 해상풍력 실증의 최대 적합지로 거론된다. 지난해 6월 국책과제로 민간기업과 대학에서 기술개발이 시작된 단계다.

울산시는 울주군 서생면 부근 해상(새울원전 앞바다)에 3·5·7MW급 각 1기를 설치해 실증화 작업을 돕는다는 계획이다. 사업기간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며 1,600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풍력발전기기는 중심부 높이 80m, 날개까지 120m에 이르는 대형 구조물은 해상플랜트 구조와 유사해 조선·해양플랜트 기술인력이 이를 맡아 제작한다면 신재생에너지 개발과 함께 실직자 지원 등 1석2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울산시의 계산이다.

제2의 조선·해양플랜트 산업으로 현재 고정식 해상 풍력발전 실증화가 제주 등에서 진행되고 있지만 경제성과 각종 민원으로 한계를 보이고 있다. 반면 바다에 떠 있는 부유식은 민원 문제로부터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외국에선 미국과 유럽, 일본 등에서 활발한 연구와 실증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울산시 관계자는 “세계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선진국을 따라 잡을 수 있는 기회”라며 “국가 경쟁력 향상과 함께 조선·해양산업 구조조정에 따른 전문기술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고 밝혔다.

/울산=장지승기자 jjs@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