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은 도시의 연결성에 따라 촉발된다. 영국의 혁신 클러스터인 런던 테크시티가 도심 지역에 위치한 것은 기존의 대학과 각종 지원기관 등 인프라 연결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에드워드 글레이저는 ‘도시의 승리’라는 책에서 도시의 경쟁력이 국가의 경쟁력임을 역설하고 있다. 도시 인구가 10% 증가하면 소득이 30% 증가한다는 것이다. 문제는 인구 집중이 아니라 인구 집중에 따른 환경 문제의 해결 역량인 것이다. 도시의 인위적 분산은 국가경쟁력을 약화시킨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이미 지방으로 이전된 혁신도시가 국가 발전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숙제다. 혁신도시의 현재 문제는 한마디로 혁신 역량 부족이다. 혁신도시의 공기업 혹은 공공기관들은 이전 과정에서 우수 인력들의 대거 이탈로 업무 역량이 저하됐다. 업무 협의차 출장 중인 간부급 인력들은 데이터 공유 수단 없이 현장 실무진과 단절돼 있다. 공간적 제약을 스마트워크로 극복해야 하나 국정원의 클라우드 사용 규제로 현실과 가상을 연결하는 4차 산업혁명적 스마트워크는 불가능하다.
‘창조성은 연결이다’라는 스티브 잡스의 주장을 상기해보자. 혁신도시에는 이러한 창조적 연결성이 현저히 부족하다. 혁신도시 기업들의 업무 단절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기반의 업무 공유가 시급히 구축돼야 한다. 클라우드에서 부서 책임자와 실무자 간에 공간과 시간을 넘어선 스마트워크가 가능해진다. 혁신도시 이전 수준으로의 회복을 넘어 과거에는 어려웠던 내부 부서 간의 협력과 외부 관계부처 및 협력기업과의 업무 연결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이다. ‘인간을 중심으로 한 현실과 가상의 융합’이라는 4차 산업혁명 패러다임은 혁신도시에도 적용돼야 한다.
데이터 개방은 주변 벤처기업들의 개방 혁신을 촉진시킬 수 있다. 혁신은 조직 크기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거대한 공기업은 혁신성이 현저히 부족하다. 벤처기업들의 혁신 역량이 혁신도시 공기업의 시장과 결합하는 것이 혁신도시의 미래 지향점이다. 혁신과 효율이 선순환하는 개방 플랫폼 구조가 공기업의 미래다. 이를 위해 개인정보와 국가안보가 아닌 공기업의 데이터는 원칙적으로 개방해야 한다. 런던 테크시티의 경우 오픈 데이터 기관을 통한 데이터 공유 서비스로 혁신 생태계를 연결하고 있다.
지난 2013년 시작한 미국의 SAC(Smart America Challenge)는 이러한 개방 생태계를 사이버 물리 공간(CPS·Cyber Physical System)에서 구현하는 4차 산업혁명적 프로젝트다. 100여개가 넘는 기관이 참여해 미국 사회의 미래 성장 테스트베드 구축에 도전하고 있다. 사물인터넷(IoT)의 초연결망으로 현실과 가상이 융합하는 신차원의 스마트시티를 구현하려는 것이다. 우리도 이러한 4차 산업혁명적 구조로 지금은 국가의 부담인 혁신도시가 글로벌로 도약하는 전화위복의 기회로 만들어보자.
혁신도시는 창조도시가 돼야 한다. 창조도시에는 오프라인의 면대면(face to face) 모임이 필수적이다. 리처드 플로리다는 ‘창조계급’이라는 저서에서 무작위의 비공식 모임들이 혁신을 촉발하는 원동력이라고 지적했다. 창조도시에는 청년 문화가 필수적이다. 즐거운 놀이 문화가 필요하다. 그런데 지금의 혁신도시는 기존의 도심에서 대부분 떨어져 있다. 혁신에 필수적인 오프라인 연결성은 대단히 부족 하다. 테크노파크·창조경제혁신센터·액셀러레이터·인큐베이터·벤처캐피털·컨설턴트 등의 창업 생태계와 개방 연결돼야 한다. 혁신은 고즈넉한 산속이 아니라 복잡한 시장에서 발현된다는 것을 잊지 말자.
창조경제연구이사회 이사장·KAIST 초빙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