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금한 대책으로 먼저 시장 다변화가 많이 거론되고 있다. 중국 편향의 시장구조 개선 문제는 그 전부터 정부 차원에서도 노력을 기울여온 과제로 지난해에는 동남아 등을 중심으로 한 비(非)중국 국가에서 전년대비 26.6%가 증가한 약 920만명의 관광객을 유치했다. 현 상황에서 동남아권 등 대체시장 프로모션 예산의 확충과 상반기 예산 조기집행 등을 과감히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부족한 동남아어권 가이드를 확충하고 무슬림에 대한 친화도를 높이는 등 단기간에 풀기 힘든 과제들도 각계와의 협력으로 해결해야 한다.
그러나 시장 다변화, 관광 인프라 확충에는 시간이 걸린다. 중국 관광객 감소로 직격탄을 맞은 내수 시장을 살리기 위해서는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국내 관광 활성화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지난해 대만 정부에서 중국 관광객 급감에 따라 중국 전담 여행사의 국내 관광 상품 취급, 피해 지역 상품 개발, 평일 여행 정착, 공무원의 국내 여행 장려를 위한 국민여행카드 출시 등 국내 관광 활성화에 사력을 다한 사례를 본보기로 삼아볼 만하다. 아울러 지난해 구마모토현 지진 피해 극복을 위해 일본 정부의 보조금을 기초로 개시한 규슈관광 할인여행권 사업 또한 살펴볼 만한 가치가 있다. 국민들의 국내 관광이 왕성해지면 교통·숙박·안내·쇼핑·식당 등의 쾌적한 관광환경 조성으로 이어져 관광경쟁력은 자연스럽게 높아진다.
중국 정부의 조치도 짚어볼 부분이 있다. 오는 2020년 도쿄 하계올림픽에 이어 열리는 2022년 동계올림픽의 개최국은 중국이다. 동북아에서 올림픽이 연이어 열리는데 국가 간 관광 왕래를 통제하는 것은 ‘평화’라는 올림픽의 이상과 맞지 않는다. 더욱이 국제 관광 왕래를 촉진하는 정책이야말로 국제 평화를 이끄는 일이기에 지난 1967년 유엔에서도 관광을 ‘평화의 패스포트’라고 천명한 것이 아니었던가.
이번 금한을 계기로 양국 국민 간 반한·반중 감정의 불이 마구 번지는 일은 피해야 한다. 감정의 골을 키우는 것은 참으로 어리석다. 연간 1,250만명이라는 대규모의 인적 교류를 해온 한중 관계가 아닌가. 사태가 마무리되면 다시 웃으며 서로 방문하고 환대할 수 있는 여지는 남겨두는 성숙한 의식이 모두에게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