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사비 2배 인상 장벽' 친 FDA…속타는 바이오·제약사

내년 심사비 2배로 올려 자국기업 노골적 챙기기 나서
한번에 67만달러 소요…많게는 10여차례 시도 '부담'
허가건수는 줄여 '신청 차질 → 출시 연기' 악순환 우려



도널드 트럼프 신정부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이 국내 바이오·제약업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일단 새로 출범한 미국식품의약국(FDA)이 내년도 의약품 심사비를 예년의 2배 수준으로 대폭 확대하는 등 눈에 안 보이는 비관세장벽을 치고 있다. FDA는 당초 기대를 모았던 신약 승인기간 단축 대신 심사비 인상을 통해 자국 기업 챙기기를 시작한 것이 아니냐는 우려 섞인 분석도 나온다. 이에 따라 미국 시장 진출에 사활을 걸고 있는 국내 업계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22일 로이터와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FDA는 최근 2018년 전체 예산안 중 심사비 총액을 20억달러로 책정했다. 심사비는 제약업체가 글로벌 시장의 절반을 차지하는 미국에 의약품과 의료기기 등을 정식으로 시판하기 위해 내는 일종의 승인비용이다. 올해 책정된 심사비 총액이 11억9,000만달러라는 점을 감안하면 2배 가까이 늘어나는 셈이다.

심사비 총액은 FDA가 매년 승인하는 신약의 규모를 가늠하는 척도다. 그래서 표면적으로는 FDA 허가를 받는 신약 품목이 늘어날 여지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최근 들어 FDA가 허가를 내준 신약 품목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는 점이 변수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임상을 성공적으로 마친 신약이 FDA의 최종 승인을 받으려면 통상 67만달러(약 7억5,000만원) 정도의 심사비가 소요된다”며 “그러나 신약 개발의 특성상 단번에 FDA 승인을 획득하기가 어렵고 많게는 10여 차례 이상 심사를 받아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심사비 인상이 상당한 부담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FDA는 지난 2011년부터 2015년까지만 해도 연평균 37종의 신약을 허가했지만 지난해는 22종에 그쳤다. 질환의 치료과정이 갈수록 복잡해지고 신약 후보물질 발굴도 어려워지면서 올해도 20종 안팎에 그칠 것이라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FDA의 심사비 총액 인상이 사실상 개별 신약의 심사비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벌써부터 FDA의 심사비 인상이 미국 자본을 기반으로 하는 다국적제약사에게 전적으로 유리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는다. 막강한 자본을 앞세운 다국적제약사는 심사비 인상에 상대적으로 자유롭기 때문에 비용뿐만 아니라 신약 허가를 신청하는 경쟁력에서도 유리한 고지에 설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FDA는 임상시험을 3상까지 마친 신약에 대해 예비심사와 자문위원회 검토를 거쳐 최종 승인 여부를 결정하며 통상 1년 안팎이 소요된다. 국내 기업들은 “심사비 인상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승인 신청 차질을 야기하고 이는 결국 신약 출시 연기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하소연한다.

현재 FDA 승인을 받은 국산 신약은 모두 6종이다. 2003년 LG화학(LG생명과학)의 항생제 ‘팩티브’를 시작으로 2013년 한미약품의 역류성식도염 치료제 ‘에소메졸’과 2014년 동아에스티의 항생제 ‘시벡스트로’가 미국 진출에 성공했다. 지난해에는 대웅제약의 항생제 ‘메로페넴’, 셀트리온의 관절염 치료제 ‘램시마’, SK케미칼의 혈우병 치료제 ‘앱스틸라’가 FDA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았다.

이상호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바이오의약 프로그램 디렉터는 “트럼프 정부가 제약기업 친화적인 인물을 FDA 국장으로 선임하고 신약 승인기간 단축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지만 이보다 우선하는 것이 바로 자국 기업”이라며 “막강한 자본과 인력을 갖춘 다국적제약사에 맞서야 하는 국내 기업들로서는 더욱 힘겨운 경쟁을 펼쳐야 하는 상황”이라고 안타까워 했다.

/이지성기자 engine@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