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은 1930년 충남 아산에서 태어나 서울대 불문과에 진학한 뒤 1955년 ‘사상계’에 ‘회화를 잃은 세대’라는 시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동 대학원에서 논문 ‘폴 발레리에 있어서 지성과 현실과의 변증법으로서의 시’로 석사 학위를 취득한 고인은 이화여대 전임강사로 발탁됐지만, 1961년 교수직을 버리고 프랑스로 떠나 파리 소르본대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당시 고인이 쓴 박사 논문이 파리에서 출판됐을 때 하스미 시게히코(蓮實重彦) 전 도쿄대 총장이 책을 서점에서 접하고 저자가 한국인이라는 사실에 놀랐다는 일화가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세계의 본질과 삶의 의미를 탐구하기 위해 미국으로 넘어가 서던캘리포니아대에서 철학을 공부해 다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문학자이자 시인이며 철학자였던 그의 사유 세계는 ‘둥지의 철학’으로 요약된다. 고인은 “세계관으로서의 철학이라는 건축활동, 그 동기와 건축구조는 새의 둥지 짓기와 같다”며 “우리가 바라보는 세상이 하나의 그림이라면 그 상(像)이 자연과 더불어 사는 ‘둥지’와 같은 것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와 과학’, ‘철학이란 무엇인가’, ‘예술철학’, ‘둥지의 철학’, ‘과학의 도전, 철학의 응전’, ‘당신에겐 철학이 있습니까’, ‘문학 속의 철학’ 등 100여 권의 저작을 남겼다. 저서 중 일부는 독일, 영국, 중국에서 번역 출간됐고, 수필 ‘나의 길, 나의 삶’은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렸다. 필생의 저서인 ‘둥지의 철학’은 영국의 사프론(Saffron) 출판사에서 2015년 출간된 바 있다. 박이문 선생은 2006년 인촌상(인문사회문학 부문), 2010년에는 프랑스 정부 문화훈장(교육공로)을 수상했으며, 2012년에는 대한화학회가 제정한 ‘탄소문화상’ 제1회 수상자로 대상을 받았다.
유족으로는 부인 유영숙 여사와 아들 장욱 씨가 있다. 빈소는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13호실에 마련됐다. 발인은 29일 오전 6시 30분, 장지는 국립 이천호국원. (02)2227-7500
/서은영기자 supia927@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