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 지분가치 산정기준을 장부가액에서 공정가액으로 변경하며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섰다고 하나 회계과정을 보면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설립 이후 적자상태로 있다가 2015년 하반기 바이오시밀러 제품이 나오면서 가치가 급등했다. 삼성은 한국회계기준(KIFRS)에 따라 변동된 가치를 반영하기 위해 공정가액으로 바꿨을 뿐이다. 증시 상장도 정치권은 적자기업에 특혜를 줬다고 주장하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 당초 삼성은 해외 비즈니스를 감안해 미국 나스닥에 상장할 계획이었으나 성장 유망기업을 해외에 상장하는 데 대한 비난 여론이 일자 한국거래소가 삼성에 요청해 국내로 눈을 돌린 것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장시 씨티은행과 JP모건 등 글로벌 투자은행이 상장주간사를 맡았고 국내 4대 회계법인이 참여한 가운데 정상적인 절차를 밟아 문제없이 회계 처리가 된 사안이다. 결국 정치권과 시민단체의 주장은 특검 정국을 이용한 이슈 제기에 지나지 않는다. 이를 마치 큰 의혹이 있는 것처럼 흠집을 낸다면 일개 회사 차원을 떠나 자칫 한국 금융 시스템 전체의 신뢰성에 타격을 줄 수도 있다. 최근 들어 정치권의 시장 개입이 남발되는 분위기다. 금융감독원은 정치권이 문제 제기를 한다고 부화뇌동할 것이 아니라 사안의 본질을 잘 파악해 현명하게 처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