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창고서 썩는 GM작물 4차 산업혁명 현주소 보여준다

국내 유전자변형작물(GMO) 산업이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서울경제신문 30일자 보도에 따르면 농업진흥청과 민간에서 연구개발 중인 GMO는 14종, 370여개나 되지만 상용화 단계에 이른 것은 단 한 건도 없다. GM벼와 GM고추는 정부의 상용화 중단 선언 이후 개발이 아예 중단됐거나 10여년째 창고에 처박혀 썩는 형편이다.


GMO는 과학적으로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농민과 시민단체의 반발이 거센데다 국민들의 불신도 높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GMO 산업이 유독 국내에서만 고사 위기에 직면한 것은 당국의 무사안일한 GMO 정책에 기인한 측면이 크다. 국민 불신이 과학적 근거를 갖추지 못했다면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이를 해소해야 마땅하다. GMO가 원료로 들어갔는지 여부를 정확히 알려 시민들이 막연한 공포감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설득하는 과정도 필요하다. 이런 최소한의 노력도 없이 농민과 시민단체의 눈치만 보고 덜컥 상용화 중단부터 선언했으니 GMO에 대한 불신만 키우는 꼴이 되고 말았다. 기후온난화의 영향으로 2050년에는 지금보다 70% 이상의 식량 증산이 이뤄져야 한다. 현재의 육종 기술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우리로서는 GMO 기술을 통한 시장 선점이 더욱 절실할 수밖에 없다.

GMO는 대표적인 생명공학기술이자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분야다. 세계 각국이 GM 종자 개발과 상업화를 위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앞다퉈 뛰어드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그런데도 우리는 기업이 뛰어난 기술을 개발해도 정부가 상용화를 가로막고 있으니 안타까운 일이다. 일본이나 유럽과의 기술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중국에 추월당하는 것도 당연하다. 이제라도 바이오 기업들이 GMO 기술 개발과 해외 시장 개척에 나설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무엇보다 관련정보 공개를 확대하고 소비자 불신을 해소하는 등 기본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급선무다. 정부는 GMO 상용화 중단 같은 시대착오적인 조치로 기업의 발목을 잡는다면 미래 먹거리 포기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