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가 최근 중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경제보복으로 시름에 잠긴 관광업계와 대책협의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제주도청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가 미국과 중국, 북한이 맞물리는 문제라 복잡해 당분간은 풀리기 쉽지 않지만 중국이 힘으로 제재한다고 일방적으로 굴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제주도는 맞춤형 개별관광 확대와 국내외 관광객 다변화 등으로 체질개선에 나서고 있습니다.”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최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제주도 등 우리나라로 향하는 자국민의 발목을 잡아 당장 중국 관광객 수치가 눈에 띄게 줄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국은행 제주본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3월30일까지 제주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44만807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52만7,608명에 비해 16.5% 감소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내국인 관광객은 288만2,980명으로 지난해 264만6,170명보다 8.9% 늘면서 전체 관광객이 지난해 대비 4.5% 증가했다. 실제 2016년 제주도 관광객은 1,580만명으로 이 가운데 내국인이 1,220만명, 나머지가 외국인이었다. 내국인 관광객 비중이 훨씬 높다는 이야기다. 다만 외국인 관광객 가운데 중국인이 85%(306만명)를 차지하고 있어 관광객의 다변화가 절실하다.
중국이 공식적으로 ‘금한령’을 내리기 전부터 원 지사의 대응은 신속했다. 당장 호텔·여행사·전세버스·면세점·음식점 등의 큰 피해가 예상돼 특별융자, 실업구제, 수학여행단 유치 등에 나섰다. 중국 개별관광객(싼커) 유치를 위해 대중교통체계를 혁신하고 스마트폰만 있으면 가이드와 예약, 결제가 가능한 스마트관광섬도 구축하고 있다.
이 같은 대처는 2015년 전국을 휩쓸었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로 제주관광이 한바탕 홍역을 치른 바 있어 꾸준하게 관광산업의 근육을 키워왔던 게 한몫했다.
원 지사는 정부가 2010년부터 ‘부동산 투자이민제’로 중국 자본의 물꼬를 터주며 무분별한 난개발과 환경훼손이라는 부작용이 생기자 2014년 도정을 맡은 뒤 치유책을 펴왔다. △‘관광단지 내’ 투자이민제 적용 지역 제한 △투자유치 3원칙 정립 △중산간 보전 가이드라인 발표 △환경영향평가 심의 강화 △농지이용실태 전수조사 등을 실시한 것이다.
원 지사는 “제주와 중국은 여전히 밀도 높은 관계로 다만 중국 투자유치는 경제뿐 아니라 안보·주권에도 영향을 미쳐 신중하게 관리해야 한다”며 “투자유치도 일본과 중동, 유럽 자본 등으로 다변화하려고 한다”고 강조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