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은의 영구채 금리 인하와 사채권자에 대한 우선상환권 제공 이외에 “더 이상의 양보는 없다”는 채권단과 “상환을 보증하라”는 기관투자가가 팽팽히 맞서고 있는 탓이다. 금융당국은 이대로라면 사실상의 법정관리인 프리패키지드플랜(P플랜)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어렵게 이끌어온 대우조선 회생안이 끝내 좌초될 위기에 처한 것이다.
이동걸 산업은행장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에서 열린 대우조선해양 회사채 보유기관 투자자 설명회(IR)에 참석하고 있다./송은석기자
10일 여의도 산은 본점에서 열린 대우조선 회사채 보유 기관투자가 설명회에 참석한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회사채 투자자) 그쪽에서 이야기하는 부분에 대해서 우리 역할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있다”며 “수은 영구채 금리 인하, 회사채 투자자들에 우선 변제권 부여 등은 우리가 제시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밝혔다. 더 이상의 양보는 어렵다는 뜻이다.
실제 산은은 이달 말 대우조선의 부족자금은 9,116억원으로 4월 회사채를 갚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회사채와 기업어음(CP) 1조5,500억원을 만기 연장하더라도 내년 9월에는 최대 3조6,000억원이 부족하다고 산은은 내다봤다. 자율구조조정을 할 경우 회사채와 CP의 회수율은 50%인 반면 P플랜으로 가면 출자전환 비율이 50%에서 90%로 올라가 회수율이 10%에 그친다고 강조했다. 최악의 시나리오를 적용해도 오는 2021년에는 2조3,973억원의 현금이 남는다는 게 산은의 분석이다. 회사채 상환에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채권단의 한 고위관계자는 “P플랜으로 가면 기관투자가의 손실이 커지기 때문에 되레 관계자들은 배임이 될 것”이라며 “그럼에도 P플랜을 가야 한다고 결정하면 할 수 없다”고 했다.
기관투자가들의 시각은 다르다. 당초 채무재조정안이 산은과 수은에 유리하게 짜여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최소 상환 보증을 해달라고 주장하고 있다. 앞서 국민연금은 산은과 대우조선해양에 △만기 4월21일인 회사채 4,400억원에 대한 전부 혹은 일부 상환 △산은 등 대주주의 추가감자 △회사채 출자전환 가격 및 비율 인하 △만기 연장 회사채 조기 상환 혹은 보증을 요구했지만 채권단은 이를 거부했다. 정용석 산은 부행장도 “산은과 수은이 사채권자에게 상환권을 보증해주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기관투자가들은 산은과 당국의 손실 추정치도 믿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이 P플랜으로 가면 RG콜은 최소 8척에 7,900억원어치가 발생한다. 법정관리시에는 40척의 선박계약이 취소될 수 있다. 이에 대해 기관투자가들은 RG콜이 최대 100척이 발생하더라도 담보가 얼마냐에 따라 실제 회수금이 달라지는데 산은이 이를 밝히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상황을 감안하면 대우조선이 결국 P플랜으로 가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당장 키를 쥐고 있는 국민연금이 채무재조정안에 부정적인 입장이기 때문이다. 국민연금은 4월 만기도래 회사채(4,400억원)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2,000억원어치를 보유하고 있다. 총 5회차의 사채권자 집회 가운데 하나라도 부결이 되면 나머지도 곧바로 부도처리 된다. 국민연금은 이번 주 투자위원회를 열고 대우조선 채무재조정안에 대한 최종 입장을 결정할 예정이다.
현재로서는 국민연금이 반대해도 사채권자 집회는 예정대로 열린다. 이를 고려하면 P플랜 돌입 시점은 21일 전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P플랜 돌입을 위한 실무준비는 90%가량 끝났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현재 분위기로는 국민연금이 자신들이 노력했다는 점을 보여주고 기권하거나 반대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영필·임세원·김흥록기자 susopa@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