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우정사업본부는 13일 혹은 늦어도 14일에 투자심의회를 열어 대우조선해양 회사채 채무조정에 동의할지 결론을 내리기로 했다. 우정사업본부는 예금 중 1,800억원을 대우조선해양 회사채에 투자했다. 금융투자 업계 관계자는 “대우조선해양 대주주인 산업은행이 제공한 자료가 부족하고 외부 검증을 해달라는 요청도 산은이 거부했기 때문에 우정사업본부는 사채권자 집회에 불참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우정사업본부는 국민연금 등 다른 기관투자가와 마찬가지로 산은이 제공한 정보가 부족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국민연금은 산은이 애초 대우조선해양의 4월 부족 자금이 9,100억원이라는 사실을 제대로 전달하지 않았다며 불만을 나타냈다.
기관투자가들은 대우조선해양이 프리패키지드플랜(P플랜)으로 갈 경우 채권단이 실제 손실을 입는지조차 불명확하다고 주장한다. 산은은 기관투자가에게 준 자료에서 시나리오별로 건조 중인 배 가운데 최소 8·39·96척의 배에 대해 발주처가 선수금환급보증(RG) 실행을 요구하고 배의 인도를 거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8척에 대해서만 채권단의 손실 규모를 7,200억원 정도라고 밝혔을 뿐 나머지 사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금액이나 실제 회수율 전망치가 없었다. 대우조선해양 부도로 57조원의 피해를 입을 것이라는 산은의 주장이 과장됐다는 것이 기관투자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한 기관투자가 관계자는 “산은이 말하듯이 대우조선해양이 살 수 있는 회사고 P플랜으로 갔을 때 모두가 손해라면 무조건 P플랜으로 간다고 압박할 게 아니라 채권단이 재무적으로 판단해 회사채를 갚고 회사를 살릴 수도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산은 관계자는 “수차례 설명을 통해 유동성 부족 규모를 밝혔고 P플랜 시 벌어질 상황은 누구도 확신할 수 없다”면서 “기관투자가는 산은의 손실 여부를 따질 게 아니라 스스로의 손실을 따져 결정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임세원기자 why@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