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객을 유치하려면 그에 걸맞은 수용 태세는 필수다. 언어가 통하는 관광안내 또한 그중 하나다. 하지만 말레이·인도네시아어, 태국어, 베트남어 등은 소수언어로 아직 받아들일 준비가 미비하다. 한국관광공사가 동남아권 관광객 유치를 위해 이들 언어로 만든 가이드북을 주요 접점에서 배포하고 있지만 이 정도로는 부족하다. 관광안내 인력이 확충돼야 한다.
현재 등록된 관광통역안내사는 2만8,929명(2017년 1월 기준)이고 이 중 동남아어나 아랍어가 가능한 인력은 총 260명으로 전체의 1%가 채 안 된다. 이에 따라 영어·일어 등 타 언어권 통역안내사의 동남아어권 전환을 위한 지원 사업을 실시해 현재까지 약 15명 정도의 성과를 거두기도 했지만 단기간의 언어 습득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이런 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무척 중요하다. 지자체에서 현지 관광안내를 위해 확보하고 있는 문화관광해설사는 현재 총 1,257명(2016년 12월 기준)이고 역시 동남아어 구사가 가능한 인력은 거의 없다. 한국에는 동남아 국가들에서 온 약 4만명의 이주민이 전국에 흩어져 있다. 지자체 및 각 부문에서 이들을 잘 활용하는 지혜를 발휘할 필요가 있다. 이들 이주민이 해당 지역의 문화관광해설사로 참여하고 한국관광공사에서 마련하는 역량 형성 과정 등의 교육을 착실히 받아나간다면 소수언어권을 위한 양질의 관광안내 인력이 마련될 것이다. 이주민들의 한국 사회 정착에도 적잖게 도움이 되지 않겠는가.
관광안내 인력 확충을 위한 사례들은 주변국에서도 볼 수 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중국 정부의 보복조치로 중국관광객이 급감해 동남아 시장 확대에 주력한 대만은 늘어난 동남아관광객 수용 태세 대책의 하나로 최근 대만 국적의 동남아 이주민, 화교 학생 등을 대상으로 총 50명의 동남아어권해설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훈련 시범사업에 착수했다고 한다. 일본은 관광안내 인력 부족의 해소를 위해 시험이 아닌 연수(硏修)에 따라 아예 자격증을 부여하는 ‘특례통역안내사’ 제도까지 이미 지난 2011년 도입했다.
수용 태세 없이는 관광객 유치에 박차를 가할 수 없다. 동남아어 관광안내 인력 부족은 이미 발등에 떨어진 불이며 인력 확충이 늦어질수록 시장 다변화도 요원하다. 대책 마련을 위해 지혜를 모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