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만 배불리는 금호타이어 매각…커지는 재매각 목소리

<상>후유증 커지는 금호타이어 매각작업
산은 등 채권단 막대한 차액
더블스타 자금 조달 가능성 의문 투성이
방산 기업 특수성·각종 특허권 간과돼
"후폭풍 본격화 되면 책임지는 사람 없을 것" 우려도

금호타이어 매각이 결국 채권단의 배만 불린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는 간단하다. 매각 이후 득을 보는 곳이 사실상 채권단과 더블스타뿐이기 때문이다. 금호타이어 이해관계자들이 하루가 멀다 하고 반대 성명을 내고 정치권까지 나서서 신중한 매각을 요구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일본 정부가 도시바 반도체 기술 유출을 우려해 개입하겠다고 밝힌 것처럼 제조업 경쟁력 유지를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

◇잭팟 터뜨린 산은, 더블스타 자본력 우려도=금호타이어가 더블스타로 매각될 경우 예상되는 산은 등의 이익 규모는 약 8,031억원이다. 지난 2013년과 2014년 전환사채를 통한 차액인 1,800억원은 박삼구 회장 측이 인수했더라도 어차피 얻어가는 부분인 점을 고려해 제외하더라도 약 6,231억원의 수익을 남긴다. 금호타이어 워크아웃 이후 5% 이율로 매달 수십억원에 달하는 이자까지 더하면 수익 규모는 훨씬 커진다. 금호타이어의 당초 예상 매매가인 7,500억원으로 계산했을 때 채권단이 얻는 이익(2,000억원) 대비 3배 이상 많다. 업계에서는 산은이 높은 매각가에만 집중해 매각 과정을 세밀하게 챙기지 못했다고 비판한다. 박 회장 측이 문제를 제기하고 나서야 컨소시엄 구성 여부를 주주협의회 안건으로 올리고 ‘금호’ 상표권 논란이 제기된 것이 대표적이다.


더블스타가 금호타이어 인수 이후 과연 매각 대금을 감당할 능력이 될지에 대한 의문도 계속해서 나온다. 업계에 따르면 더블스타와 칭다오시 소유의 투자회사 등 5개사로 구성된 ‘더블스타 컨소시엄’은 인수 대금 9,550억원 중 2,230억원만 출자했다. 나머지 7,200억여원은 중국 금융권으로부터 대출을 약속받고 확약서를 채권단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블스타의 당기순이익은 2015년 96억원이다. 7,000억원대 대출을 연 5%대 금리로 계산했을 때 이자 연 350억원의 3분의1에도 못 미친다. 이자를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더블스타가 금호타이어 인수 후 상대적으로 이자가 낮은 국내 금융권으로부터 자금을 대환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매매가격을 높여 써낸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인수합병(M&A)에서 산업은행은 국책은행으로서 기업 구조조정의 선장 역할을 해야 하지만 시중은행처럼 자본 논리를 최우선시해 수익 극대화만 앞세운다면 인수 기업 부실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방산·특허 특수성 무시…재매각 절차 밟아야”=금호타이어는 우리 군의 전투기와 훈련기용 타이어를 공급하기 때문에 중국 법인이 인수하려면 정부의 까다로운 검증과 승인과정을 거쳐야 한다. 금호타이어는 글로벌 특허 50건 등 874건의 특허도 보유하고 있다. 금호타이어는 1975년 항공기 타이어 개발에 성공해 국내에서 유일하게 항공기 타이어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F-16 전투기, T-50 고등훈련기에 장착되는 타이어 기술도 금호타이어에만 있다. 66개 방산 업체 중 타이어 업체로 금호타이어만 등록된 것도 이런 이유다. 2013년에는 전기차(EV)용 타이어 개발에 성공했고 2014년 국내 업계 최초로 구멍이 나면 스스로 봉합하는 실란트 타이어와 공명음 저감 타이어 기술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금호타이어 매각 과정에서 방산 기업이나 다수 특허 등의 특수성은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

이렇다 보니 채권단과 더블스타를 제외한 금호타이어 이해관계자 대부분이 더블스타로의 매각을 반대하고 있다. 재매각 목소리를 높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광주경영자총협회는 19일 “금호타이어 주주협의회는 우선매수권자인 금호아시아나그룹에 대한 컨소시엄 구성 불허 방침을 철회하고 동등한 조건으로 금호타이어 인수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해줄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금호타이어가 중국 자본에 매각된 후 과거 쌍용차 사태처럼 소위 ‘먹튀’로 인해 지역 경제 파탄과 근로자 생존권 위협, 국내 타이어 산업 기술 유출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금호타이어 공장이 있는 곡성군의회도 ‘금호타이어 매각 중단 촉구 결의안’을 채택했고 광주 광산구는 “경제 논리를 명분으로 내세워 매각을 강행하는 것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강성인 금호타이어 노조 역시 공개적으로 매각 반대 입장을 내놓았다. 협력업체들 역시 더블스타로의 매각을 반대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매각을 주도한 산은은 대선 이후 정권이 교체되면 매각 담당자들이 자리를 갈아탈 것이고 후폭풍이 본격화되면 결국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며 “제조업체 매각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도원기자 theone@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