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고통지수 5년만에 최대 "물가상승과 실업률 동반영향"

가계의 경제고통을 수치화한 지표가 5년 만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실업률은 4.3%,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1%로 이 둘을 더한 ‘경제고통지수’는 6.4였다. 이는 2012년 1분기 수치인 6.8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경제고통지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실업률을 더한 지표로 국민이 체감하는 경제적 삶의 어려움을 계량화한 것이다. 경제고통지수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3분기 8.6까지 올랐다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하락하면서 줄어들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대로 떨어진 2012년 3분기에는 4.6, 4분기에는 4.5를 기록했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1%인 2013년 4분기엔 3.9까지 떨어졌었다.

올해 경제고통지수가 갑자기 뛴 이유는 물가 상승률과 실업률이 동반 상승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지난해 물가상승률은 1분기 0.9%에서 1.2%포인트 상승했으며 실업률도 1분기 기준 지난해와 올해 모두 4.3%로 2010년 4.7% 이후 가장 높았다.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는 “지난해 국제유가가 저점이어서 물가 상승률도 저점이었지만 올해는 전년 대비 물가 상승률이 커질 것”이며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고 올해 베이비붐 세대들이 대거 은퇴해 새롭게 일자리를 구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으로 보여 실업률도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정수현기자 value@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