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달희 서울대 교수. /사진제공=한국연구재단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에 빛이 잘 들어가도록 돕는 나노물질을 개발했다. 이에 따라 폐암, 식도암, 자궁경부암 등 난치성 암을 빛으로 치료하는데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23일 미래창조과학부는 민달희 서울대 화학부 교수팀이 다른 세포보다 암세포로 광감작제가 잘 들어가도록 돕는 나노물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현재 일부 암은 빛으로 하는 ‘광역동’ 치료를 한다. 빛을 받으면 활성산소를 뿜어 암세포를 죽이는 광감작제를 환자에 주입한 후 암 주위에 빛을 쪼여 암세포를 죽이는 방식이다. 그런데 광감작제가 정상조직에 남아 햇빛 등에 반응해 피부 손상 등의 부작용을 일으킨다.
이번에 개발된 나노물질에 광감작제를 붙인 광감작제-나노물질 복합체는 암세포 안으로 효과적으로 들어가 항암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냈다. 기존 투여량의 10분의 1만 넣어주면 충분했다. 또 광감작제와 분해된 복합체는 몸속에서 스스로 분해된다.
연구진은 복합체의 치료 효과를 동물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임상 시험을 통해 항암제 시장에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피부암, 폐암, 식도암, 자궁경부암 등에 대한 광역동 치료 성공률을 크게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민 교수는 “다양한 난치성 암 치료에 적용이 가능하다”며 “부작용이 적고 시술성공률이 높은 차세대 항암치료 기술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문병도기자 do@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