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철호 숭실대 교수가 24일 ‘열린사회와 정부혁신 세미나’에서 데이터 기반 정부혁신에 대해 발표중이다. /사진제공=한국정보화진흥원
‘열린사회’를 만들고 ‘정부혁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책을 국민이 함께 만들고 향유하는 ‘공동생산형 정부’가 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를 위해서는 핵심자원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한 민관이 협력하는 파트너십이 필요하다고 봤다.행정자치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24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국민과 함께하는 혁신’을 주제로 ‘제3차 열린사회와 정부혁신 세미나’를 진행했다. 이번 세미나는 ‘열린사회와 혁신’(1차, 서울), ‘4차 산업혁명시대(2차, 부산)’에 이어 정부혁신의 새로운 방향 모색과 공감대 확산을 위해 마련된 총 3회 세미나의 마지막 프로그램이었다.
이날 김성우 국민대 교수는 공동생산형 정부혁신 모델 사례인 ‘통일맞이 첫마을’ 프로젝트를 설명하며 “향후 정부혁신은 정부가 일방향으로 이끌고 가는 방식이 아닌 정부와 국민이 정책 전 과정에서 함께 만드는 파트너십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통일맞이 첫마을’은 비무장지대(DMZ)내 유일한 민간인 마을인 대성동에서 시민과 전문가, 정책입안자가 함께 공공서비스 개선에 참여해 통일관광 프로그램을 개발한 사례다.
또 오철호 숭실대 교수는 “좋은 정부란 환경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소통하는 창의적 정부”라며 “좋은 정부의 역할은 국민과의 끊임없는 소통, 지속적인 개혁, 새로운 니즈의 선제적 발굴 및 제시, 창의성 창출이 가능하도록 촉진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래 정부혁신의 핵심 요소로 ‘데이터’, ‘플랫폼’, ‘파트너십’을 제시했다.
앞서 지난 7일 부산 센텀기술창업타운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 시대’ 세미나에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능형 적시행정, 정밀행정, 지역현안 해결 등 지속가능한 정부혁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지난달 24일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서울사무소에서 열린 ‘열린사회와 혁신’ 세미나 참석자들도 지능정보사회의 도래와 환경변화가 정부혁신을 요구함에 공감했다. /최수문기자 chs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