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한 서울 강남구 인구 유입·유출 사례. /사진제공=서울시
주말 오후 3시 기준 집계구별 생활인구 분석 예시. /사진제공=서울시
서울에 주소를 둔 사람은 물론 쇼핑이나 관광, 의료, 교육, 직업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서울을 찾는 이까지 포함한 새 인구모델이 연내 개발된다. 이를 통해 상주인구만 대상으로 하고 있는 현행 인구통계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어 행정 서비스 수요를 보다 정확히 파악해 대처하겠다는 복안이다. 서울시는 시가 보유한 빅데이터와 통신업체 KT의 빅데이터를 융합해 만든 ‘서울 생활인구’를 연내 개발한다고 26일 밝혔다.
서울 생활인구는 서울에 주소를 둔 상주인구뿐 아니라 일·교육·의료 등의 이유로 잠깐 서울에 머물고 있는 비상주 인구, 관광으로 서울을 찾은 외국인 인구까지 모두 포함해 만든 새 인구 통계 개념이다.
시 관계자는 “직장·쇼핑·관광·의료·교육 등 서울의 행정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방문하는 실제 인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현재 인구통계 방식은 상주인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행정서비스 수요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며 인구모델 개발 취지를 설명했다.
최근 교통 인프라 투자·주택 정책 등 막대한 재원이 투입되는 행정서비스는 물론 소규모 창업을 위한 상권분석 등 세부적 인구통계 수요가 늘고 있지만, 통계청이 공식 집계하는 인구통계는 상주인구만을 산정하고 인구주택총조사(센서스) 역시 조사 간격이 길어 시의성 있는 행정 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데 미흡한 점이 많았다.
이에 시는 KT와 ‘서울 생활인구 추계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공동연구 프로젝트에 나섰다. 대중교통 이용통계·택시 운행 통행량·건물 현황 등 시가 보유한 빅데이터와 KT의 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해 서울 전역 약 24만개 소지역(50m*50m) 단위 유동인구와 약 1만 6,000여개 집계구 단위별(1시간 간격)로 생활인구를 추계할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한 서울 생활인구는 2018년부터 시의 각종 인구정책과 시민 서비스에 두루 활용한다. 가령 서울과 인천·경기 등 다른 지역 간 인구 유입·유출 분석, 내외국인 관광지 이동경로 분석, 상권 유동인구 분석, 교통 수요 분석 등에 활용하는 식이다. 이 생활인구 통계는 앞으로 시 열린데이터광장을 통해 일별, 시간대별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최영훈 시 정보기획관은 “교통 인프라 확충으로 인구 유동성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서울의 행정 수요는 상주인구뿐 아니라 서울을 방문한 사람들, 특정 지역으로 이동하는 사람을 모두 포함할 필요가 있다”며 “서울 생활인구가 국가승인 통계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민정기자 jeong@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