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TV] 포스코, 기가 스틸 전용 자동차 강판 공장 준공해

- 연산 50만톤 규모 No.7 CGL 공장 준공 … 세계최초 1.5기가급 아연도금강판 생산
- 권오준 회장 “독보적인 초고강도강판 도금기술력 확보로 솔루션파트너 될 것”
- 독자 기술개발 설비와 자력엔지니어링으로 투자비 절감 및 원가경쟁력 확보
- 고객들의 Needs에 안정적/탄력적인 대응으로 글로벌 자동차강판 경쟁력 강화



권오준(왼쪽에서 네번째) 포스코 회장과 관계자들이 26일 전남 광양 제철소에서 7 CGL 준공식에 참석해 스위칭 세레모니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포스코
포스코가 세계 최초로 초공가도 자동차 강판인 ‘기가스틸’ 전용 자동차강판 공장을 준공하고 본격 생산에 돌입했다.

포스코는 26일 광양제철소에서 권오준 포스코 회장을 비롯해 2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인장강도 1.5기가급의 초고강도 ‘기가스틸’을 아연도금할 수 있는 No.7 CGL (Continuous Galvanizing Line) 공장 준공식을 개최했다. 총 2,554억원을 투자했으며 생산규모는 연간 50만톤이다.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포스코는 인장강도 1.5기가급 ‘기가스틸’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No.7 CGL 준공을 통해 자동차강판 분야에 새지평을 열게됐다” 며 “앞으로 포스코는 핵심 설비를 스마트화 하여 글로벌 기술 리더십을 공고히 하고 차별화된 제품과 고객 맞춤형 솔루션 제공으로 고객과 함께 더 큰 가치를 창출해 나가겠다” 고 강조했다.


포스코가 개발한 ‘기가스틸’은 1㎟ 면적당 100㎏ 이상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초고강도강판으로, 양쪽 끝에서 강판을 잡아당겨서 찢어지기까지의 인장강도가 980MPa (1GPa) 이상이어서 ‘기가스틸’이라 명명했다. 가로 10cm, 세로 15 cm 의 손바닥만한 크기 ‘기가스틸’에 약 1톤 가량의 준중형차 1500대를 올려놓아도 견딜 수 있다. 따라서 포스코 ‘기가스틸’을 적용하면 알루미늄보다 3배이상 강도가 높고 성형성도 우수해 가벼우면서 강한 자동차 차체를 만들 수 있다. 그만큼 안전하고 연비가 뛰어난 자동차 제작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특히 이번에 준공한 No.7 CGL은 1.5기가급의 자동차강판 중에서도 합금화용융아연도금(GA) 강판과, 용융아연도금(GI)강판 모두를 생산하는 세계 첫 공장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GA 강판이란 아연도금할 때 철과 아연이 합금형태로 도금되어 도장성과 용접성이 우수해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지역 완성차사들이 선호하는 강판이다. 또 GI(용융아연도금: hot-dip galvanized)강판은 순수 아연도금층이 전체 강판을 완전히 감싸기 때문에 부식에 견디는 성질이 뛰어나 유럽지역 완성차사들이 선호한다.

그동안 기가급 GA와 GI강판 생산은 도금전후 급속냉각 과정에서 나타나는 표면 및 품질문제 때문에 글로벌 철강사들도 1.2기가급까지밖에 생산하지 못했다. 이번에 포스코는 그동안 축적한 설비기술과 조업노하우를 바탕으로 NO.7 CGL의 핵심설비 개발 및 제작, 공장설계 및 시공을 모두 자력으로 수행함으로써 투자비용 절감과 원가경쟁력 확보는 물론 세계적 수준의 자력 엔지니어링 기술 수준을 과시할 수 있게 됐다.

/김상용기자 kimi@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