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들 싸움이 어른 싸움 되는, 대한민국의 부모라면 한 번쯤 겪어봤을 법한 소재로 공전의 히트를 했던 연극 ‘대학살의 신’이 6년 만에 돌아온다. 국내에선 흔하디흔한 상황이라 특별할 것이 없는데도 그 적나라한 상황 묘사에 관객들의 반응이 특히 좋았다. 등·퇴장도, 무대전환도 없이 이어지는 90분의 싸움으로 극이 이뤄지다 보니 ‘프로레슬링 혼성 태그매치를 관전하는 듯했다’는 감상평이 나올 정도였다.
그런데 이 작품 엄밀히 말하면 국산이 아니다. 지식인의 허상을 통렬하게 꼬집은 연극 ‘아트’로 잘 알려진 프랑스 작가 야스미나 레자의 작품으로 2008년 영국 런던 웨스트엔드 초연 이후, 토니어워즈, 올리비에 어워즈 등 권위 있는 시상식에서 최우수 작품상, 연출상, 최우수 코미디상 등을 거머쥔 작품이다. 특히 2011년에는 영화 ‘피아니스트’의 로만 폴란스키 감독이 조디 포스터, 케이트 윈슬렛 등 유명 할리우드 배우들과 영화로도 제작해 히트했다.
신시컴퍼니는 2010~2011년 두 차례 한태숙 연출과 함께 작품을 잇달아 선보였고 당시 대한민국연극대상과 동아연극상 등에서 주요 부문을 수상하는 쾌거도 이뤘다.
특히 이번 세 번째 무대에선 연극 ‘보도지침’ 뮤지컬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등으로 국내 공연계의 블루칩이 된 작가 겸 연출 오세혁이 대한민국 관객들이 보고도 뜨끔할 작품으로 윤색했고, 연극 ‘레드’ 뮤지컬 ‘원스’ 등을 연출한 김태훈이 재치 있고 긴장감 있는 무대를 끌어낸다.
/서은영기자 supia927@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