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경기부양 정책이 시중 채권금리의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증시의 허니문 랠리로 채권 시장이 소외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채권 시장에서 국고채 3년물은 전 거래일 대비 2.6bp(1bp=0.01%포인트) 오른 1.733%에 장을 마감했다. 국고채 1년물은 1.0bp 올랐으며 장기물인 5년물·10년물도 각각 4.0bp, 5.7bp씩 상승했다. 금리 상승은 채권가격 하락을 의미한다. 이날 채권 금리는 미국 연방준비위원회의 6월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는 가운데 프랑스 대선 등 대외 불확실 요인이 완화한 게 영향을 미쳤다. 통상 채권은 안전자산으로 분류돼 주식가격이 상승할 때 반대 흐름을 나타내는데 대외 불안정이 해소되면서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이어져 국채 금리가 상승했다는 분석이다. 이달 들어 코스피지수는 2.93% 오른 반면 국고채 3년물 금리는 5.8bp 올랐다. 김상훈 KB증권 연구원은 “프랑스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미국·한국 증시가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금리 상승을 견인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19대 대통령선거가 끝나고 새로운 정부가 들어선 것도 채권 시장의 약세 요인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정부 지출 확대를 통한 공공부문 역할론을 강조하며 ‘10조원 상당의 일자리 추경’을 언급했기 때문이다. 통상 정부가 경기부양의 일환으로 확장적 재정정책을 펼치면 채권 금리는 상승한다. 전문가들은 추경 편성이 확실시되는 만큼 채권 시장에 대한 약세 전망을 내놓고 있다. 추경이 편성될 경우 적자국채 발행 여부가 중요하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추경 편성이 가시화하면 재원 마련을 위해 적자국채를 발행할 가능성도 있다”며 “최근 수년간에 걸친 국채 수급 이슈가 올해 역시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지난 4월 수출이 전년 대비 24% 넘게 증가하는 등 경기개선 기대감이 높아지는 것도 채권 시장 약세를 이끌 것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미국에 비해 금리 상승 폭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공 연구원은 “한국은 경기 여건이 여전히 취약하다”며 “초장기물 발행과 같은 수급 충격에 대해 채권 시장의 내성이 강해졌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미국에 비해서는 금리 상승 폭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서지혜기자 wise@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