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물도 서서히 모습을 드러냈다. 자회사 네이버랩스가 국내 정보기술(IT) 업계 최초로 지난 2월 자율주행차 임시운행 허가를 받았고 라인(LINE)과 공동으로 준비한 AI 플랫폼 ‘클로바’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7’에서 공개했다. 최근에는 클로바를 탑재한 AI 비서 앱(응용 프로그램) ‘네이버-클로바’가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 역시 국내 IT 기업으로는 최초다. 지난해 11월부터 불과 6개월 동안 일어난 변화다.
이 과정에서 네이버가 정부의 직접적 지원을 받은 일은 없다. 물론 글로벌 기술혁신 기업인 구글과 페이스북 등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빠른 인수합병(M&A)·투자 결정으로 체질을 바꿨다는 점은 좋은 평가를 받는다. 성장사다리펀드를 운용하는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의 서종군 본부장은 “네이버와 카카오(035720) 등 대표적인 국내 IT 기업이 4차 산업혁명 시기에 일반 대기업보다 적극적으로 투자에 나서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5세대(G) 이동통신기술 개발도 SK텔레콤(017670)·KT(030200)·LG유플러스(032640) 등 민간이 주도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19대 대선 과정에서 “5G 통신망 구축에 국가가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으나 아직 정부의 눈에 띄는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 그래도 민간에서의 노력으로 KT의 김형수 박사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5G 표준화 전담 그룹인 ‘IMT 2020 워킹파티’ 의장을 맡는 등의 성과도 냈다. 일단 국내 이동통신 3사는 오는 2019년 5G의 상용화를 목표로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ITU가 5G 국제표준화를 최종 승인하는 시점인 2020년 상반기보다 빠른 일정이다. 차재필 한국인터넷기업협회 실장은 “국가가 밀어붙인 ‘와이브로’가 4G 표준에서 밀린 대신 롱텀에볼루션(LTE) 기술이 자리를 잡은 것만 봐도 5G 개발은 민간기업이 주도하는 게 낫다”며 “정부는 규제 철폐 등 후방 지원에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최두환 포스코ICT 대표 역시 “정부와 정치권이 ‘혁신의 장’에서 판을 깔아 벌여주면 민간이 모여 신바람 나게 춤을 출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여기서 어떤 춤을 출지도 전적으로 민간에 맡겨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민구기자 mingu@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