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유발 라스 돌연변이 단백질에 직접 작용하는 항체 개발했다

항체가 인테그린 수용체에 결합하여 세포내로 내재화 되어 엔도좀에 위치한다. 엔도좀에서 탈출하여 세포질 내의 라스 돌연변이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결합 후 라스 단백질에 의한 종양 세포 성장 및 분열을 촉진하는 신호 전달을 저해한다. /사진제공=한국연구재단
라스 돌연변이 단백질은 가장 널리 알려진 종양유발 인자로 인간 종양의 약 30%에서 나타난다. 특히 췌장암에서 약 95%, 대장암에서 약 52%, 폐암에서는 약 30%로 발견된다.

1982년 발견한 이후 지난 30여 년간 라스 돌연변이를 직접 표적하는 약물이 개발된 바가 없어 난공불락 표적이라 불리고 있다. 지금까지는 세포 외부의 막단백질과 분비단백질을 표적으로 암, 면역질환 등의 치료제로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이 방법은 세포질 내에 위치한 질환 유발 단백질은 직접 표적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연구재단은 김용성 교수(아주대) 연구팀이 세포 내부의 암유발 라스(Ras) 돌연변이 단백질을 직접 표적해서 종양의 성장을 막는 치료용 항체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라스 돌연변이 단백질을 표적하면서 동시에 세포질 침투능이 있는 세포 침투 간섭항체를 개발하여 종양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촉진을 방해하는데 성공했다.

항체가 종양 세포 표면에 과발현되어 있는 인테그린 수용체를 통해 세포 속으로 들어온다. 이후 막 주머니인 엔도좀에 구멍을 낸 뒤 탈출해 세포질에 위치하여 세포질 내부의 라스 돌연변이 단백질과 결합한다. 결합 후 라스 단백질의 성장 신호 전달을 저해하게 되어 종양 성장이 억제되는 것이다.

김용성 교수는 “항체가 종양 세포에 침투하여 라스 표적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비정상적 신호 전달을 차단하는 것을 확인했다”라며 “현재까지 약물이 없었던 라스 돌연변이 단백질을 직접 표적하는 신약 항체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라고 의의를 설명했다.

미래창조과학부·한국연구재단의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 10일 게재됐다.

/문병도기자 do@sedaily.com
김용성 아주대 교수./사진제공=한국연구재단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