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다음달 정부가 가계부채를 잡기 위해 DSR 가이드라인을 발표할 전망인데요.
DSR을 도입한다는 것은 대출을 좀 더 깐깐하게 들여다봐 조이겠다는 것으로 은행 입장에서는 그만큼 이자 이익이 줄어드는 의미가 있죠. 그런데도 은행이 DSR을 반기는 이유는 뭘까요.
앵커리포트입니다.
[기자]
새 정부가 가계부채를 잡기 위한 대책으로 꺼내 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
기존의 총부채상환비율 DTI와 달리 주택담보대출 뿐 아니라 신용, 마이너스까지 모든 대출의 원리금 상환 부담을 따지는 지표입니다.
DSR로 대출 심사기준을 바꾸면 소득대비 부채수준이 DTI 때보다 높아져 개인이 대출받을 수 있는 총액이 줄어듭니다.
은행 입장에서는 여신 규모가 줄어 이자 이익도 덩달아 감소합니다. 그런데도 정작 은행권이 크게 걱정하지 않는 이유는 뭘까요.
대출을 깐깐하게 따지는 만큼 부실률도 줄어들어 자산 건전성이 높아지고 대손충당금 부담이 줄어드는 등 수익성에 도움이 되는 측면이 있어서입니다.
은행 관계자는 “실제 대출을 많이 한다고 해서 무작정 수익으로 연결되지도 않았다”라면서 “자산의 질을 높이는 게 실적에 더 큰 도움이 된다”는 입장을 전했습니다.
실제 자산 건전성을 높이는 데 주력한 우리은행은 최근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하는 등 높은 실적을 보였습니다.
농협은행 역시 작년 조선·해운 구조조정 영향으로 대규모 충당금을 쌓으며 저조한 실적을 보였지만 부실여신을 털어내 올 1분기에 전년 대비 무려 367% 늘어난 1,50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렸습니다.
업계에서는 당국이 DSR의 기준비율을 150% 내외로 잡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단계적으로 목표한 수준에 맞춰나가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이미 DSR을 도입한 KB국민은행 외 시중은행들은 정부의 가이드라인이 나오기 전까지 DSR을 도입할 계획은 없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양한나기자 one_sheep@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