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파리 기후변화협정 탈퇴에 반대하는 시민들이 3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지구를 다시 위대하게” 등의 문구를 적은 피켓을 들고 항의 집회를 벌이고 있다. /뉴욕=AFP연합뉴스
디오스트레일리안 등 호주 언론들은 3일 연립정부 소속 6~7명의 의원들이 미국의 탈퇴로 본래 의미가 퇴색한 파리협정에서 탈퇴하거나 원점 재검토를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호주는 석탄 화력 발전의 양축인 철광석과 유연탄의 세계 최대 생산국 중 하나로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세계 최상위권이다. 특히 철광석 수요 감소로 호주 경제는 경기 둔화 위기를 겪고 있다.
이안 맥도널드 호주 상원의원은 “트럼프의 결정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모든 의문을 새로 들여다볼 필요가 생겼다”며 파리협정 탈퇴를 정부에 압박했고 집권 자유당의 크레이그 켈리 하원 환경위원장도 파리협정 참여를 면밀히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멜컴 턴불 총리는 파리협정을 준수한다는 방침이며 야당은 “총리가 여당 내 강경 우파의 주장에 끌려가서는 안 된다”고 촉구했다.
파리협정을 지지해온 러시아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2일 미국의 협정 탈퇴를 엄호해 향후 입장 변화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푸틴 대통령은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SPIEF)에서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의 파리협정 가입을 숙고 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좀 더 주의 깊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을 수 있다”고 트럼프 대통령을 옹호했다. 그는 미국이 온실가스 배출을 오는 2025년까지 26~28% 줄이려면 수십억달러의 투자와 상당한 고용 감소를 해결해야 하는 데 고민이 있었을 것이라며 트럼프 정부의 입장을 헤아리기도 했다.
호주와 러시아가 미국의 파리협정 탈퇴에 동조 혹은 이해하는 목소리를 내면서 온실가스 주범인 화석연료 사용이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는 커지고 있다. 2일 국제 유가도 석유개발 확대 가능성이 제기되며 급락했다. 이날 런던 선물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북해산 브렌트유는 전일보다 68센트(1.3%) 떨어진 49.95달러에 거래를 마치며 배럴당 50달러 선을 내줬다. 휘발유 수요가 늘어나는 하절기가 도래했지만 증산 가능성에 하락을 면치 못한 것이다.
미국 안팎에서 파리협정 탈퇴로 미국의 리더십이 흔들리며 국제 정치의 불확실성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미국이 빠진 국제 사회에서 유럽연합(EU), 중국 등이 실질적 글로벌 협력을 이뤄내는 주도 세력으로 부상하기에는 아직 한계가 상당하기 때문이다.
유엔을 중심으로 비판이 계속되자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 대사는 3일 “트럼프 대통령도 기후변화를 믿고 있다”며 진화에 안간힘을 썼다. 뉴욕타임스(NYT)는 미국 기업 100여 곳과 대학 80여 곳, 일부 주(州)와 시(市)들은 연방정부 발표와 상관없이 파리협정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이행하겠다는 별도 협약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3일 미 전역에서 러시아 개입 의혹 등과 관련한 트럼프 반대 시위가 진행됐다. 하지만 워싱턴DC와 버지니아주 등에선 파리협정 탈퇴를 환영하는 지지 집회도 잇따라 열려 미국의 분열 양상도 깊어지는 모습이다./뉴욕=손철특파원 runiron@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