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고용부진 다소 완화”...추경 불가론 힘 실릴까

“수출·투자 중심으로 완만한 경기 개선추세 유지”
“야3당 추경 법적 요건 안돼” 주장 가운데 KDI도 경기 긍정 평가

산업별 취업자 증감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경기 개선 추세가 유지되고 있다”, “고용부진이 다소 완화되고 있다”고 현 경제상황을 평가했다. 정부의 추경안에 대해 야3당이 “추경 편성의 법적 요건만큼 경기가 어려운 것은 아니다”라고 반대하는 가운데 KDI도 긍정적으로 경기를 진단하며 추경 불가론에 힘이 실리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8일 KDI는 ‘6월 경제동향’을 통해 “최근 우리 경제는 생산 증가세가 다소 둔화됐지만 수출과 투자 부문을 중심으로 완만한 경기 개선 추세는 유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는 5월 “경기가 완만하게 개선되고 있다”는 진단을 유지한 것이다. KDI는 “제조업 생산이 반도체를 중심으로 증가세가 둔화하며 지난해 4·4분기 이후 빠르게 확대됐던 제조업 경기 개선 속도가 다소 조정되고 있다”면서도 “수출이 금액은 물론 물량 기준으로도 개선 추세를 이어가고 있고 건설투자와 설비투자도 양호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내렸다. 또 “민간소비는 본격적인 개선이 지연되고 있지만 소비자심리지수가 상승하는 등 경기 개선에 대한 기대는 전반적으로 유지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고용상황에 대해서는 “서비스업에서 취업자 증가 폭이 축소됐지만 제조업에서는 고용 감소세가 둔화하며 고용부진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11조 2,000억원의 ‘일자리 추경’을 최근 편성한 정부의 경기 인식과 다소 차이가 나는 것이다. 정부는 사상 최악의 청년실업률 및 체감실업률, 100만명이 넘는 실업자 등을 이유로 추경안을 국회에 보냈다. 이에 대해 자유한국당 등 야3당은 “추경은 긴급한 경기 변동이 있을 때 편성하는 것인데, 청년실업 등은 몇년 전부터 계속 악화해오던 것으로 추경 편성의 법적 요건과 맞지 않는다”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