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포럼(WEF)에서 발표한 글로벌 경쟁력 지수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베트남·필리핀 등 동남아 주요국의 인프라 수준은 7점 만점에 3~4점에 그치고 있다. 우리나라가 6점 정도라고 하니 상대적으로 얼마나 낙후돼 있는지 짐작할 수 있다. 급격한 경제와 산업발전으로 도시개발이 가속화되고 더 많은 인구가 도시로 집중되고 있지만 도로나 대중교통·전력·상수도 등 인프라 개발이 더디게 진행되며 문제는 갈수록 더 심해지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를 뒤집어 보면 그만큼 풍부한 개발 잠재력이 있다는 얘기가 된다. 동남아 주요국의 경제성장률은 글로벌 평균을 훨씬 넘어서는 5~6% 수준이어서 개발을 추진하기 위한 체력은 탄탄하게 다져져 있다. 무엇보다 외국인 투자 유치와 지속적인 경제성장에 인프라 문제가 가장 큰 걸림돌이라는 것을 각국 정부에서도 잘 알다 보니 실제로 대규모의 프로젝트 발주도 줄지어 예고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전력·교통·수자원 인프라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74조원 규모의 우선개발 인프라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고 베트남은 480억달러 규모의 철도, 대도시 메트로 등 교통 인프라 개발 계획을 수립해놓고 있다. 또 필리핀은 최근 총 710억달러 규모의 3개년 인프라 건설계획을 발표하며 인프라 투자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인프라 부문의 많은 기회가 아시아 시장에 열려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개발수요가 풍부한 아시아 시장에 우리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뛰어들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새 정부도 아세안 국가에 특사를 파견하며 협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해외 건설 지원기구 설치를 입법화하는 등 적극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수출입은행도 인도네시아·베트남·필리핀 등을 핵심전략국가로 선정해서 신시장 개척단을 통해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인프라 수주 금융 등을 지원하고 있다. 우리 기업들이 아시아 인프라 시장에 대한 투자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과거 로마에서는 도로·수도와 같은 인프라 건설을 일컬어 ‘사람답게 살기 위해 필요한 대사업’이라 했다고 한다. 아시아의 많은 사람들이 편리하게 이동하고 전기 걱정 없이 공장을 운영하고 깨끗한 물을 쓰는 사람다운 일상을 영위하는 데 우리 기업이 앞장선다는 보람까지 덤으로 따라오니 더욱 좋은 타이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