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오전 11시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극장 용에서는 영화 ‘군함도’(감독 류승완) 제작보고회가 개최됐다. 이날 자리에는 류승완 감독, 황정민, 소지섭, 송중기, 이정현, 김수안이 참석했다.
감독 및 배우들이 15일 오전 서울 용산구 용산동 국립극장박물관 극장 용에서 열린 영화 ‘군함도’ 제작보고회에 참석해 포토타임을 갖고 있다. /사진=지수진 기자
‘군함도’는 일제 강점기, 일본 군함도(하시마, 군함 모양을 닮아 군함도라 불림)에 강제 징용된 후 목숨을 걸고 탈출을 시도하는 조선인들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 ‘군함도’의 이야기는 지난해 MBC 예능프로그램 ‘무한도전’의 ‘하시마섬의 비밀’ 편을 통해 군함도에 강제 징용됐던 이들의 사연이 재조명되며 큰 반향을 일으키기도 했다.
이날 류승완 감독은 “사실에 근거해서 창작된 이야기다. 고증에 힘을 많이 썼다”며 “실제로 군함도를 취재하러 현장에 다녀오고 나니 어떻게든 그 실체를 재현해야겠다고 생각이 들더라. 연기자들에게 전달이 되지 않으면 다 가짜가 될 것 같더라. 잘 하지 않으면 영화에 출연한 배우들에게 못 할 짓을 할 수 있겠더라. 한국 영화에서 만들 수 있는 최대치로 도전해서 관객들에게 자부할 만한 결과물이 나온 것 같다”고 영화의 압도적인 규모에 대해 말했다.
그는 촬영에 각별히 고생한 배우들에게 “모든 배우들 한 사람 한 사람이 없었으면 못 할 뻔했다. 큰 디렉션 없이도 너무 잘 연기해줬다. 자부할 수 있는 건, 배경 뒤에 있는 인물들까지 모두 연기를 잘 하고 있다. 작은 역할 분들도 몰입한 현장에 내가 있어서 감사하다. 촬영하다보면 육체적으로도 힘들었는데, 당시 그 분들은 얼마나 힘들었을까 싶다. 감히 ‘힘들다’는 말을 못 하겠더라. 배우들에게 존경을 표한다”고 전했다.
류승완 감독은 “영화가 제작 공법이 딱히 있어서 몇%를 사실에 기반했는지는 정확히 말하지 못하겠지만, 많은 조선인들이 자신의 의도와는 다르게 강제징집 됐고, 제대로 된 임금을 받지 못한 것은 사실이다. 생존자들이 밝힌 바이기도 하다. 나가사키에서 18km 떨어진 하시마섬이 있는 것 등 기저에 깔린 것들은 사실이다. 실제로 집단 탈출을 한 시도는 있었으나 성공한 적은 없다더라. 실제로는 중국인 징용자들도 있었다고 하는데, 우리 영화에는 안 담겼다”고 영화의 사실성에 대해 밝히며 서스펜스에 더욱 치중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좋아하는 일본 영화들, 음식들, 친구들이 많이 있다. 나는 한일관계가 잘 풀리기 바라는 한 사람이다. 하지만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해결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야 좋은 관계가 형성된다고 본다. 갑을 관계도 아니고 말이다. 영화를 통해 그것이 충분히 불식될 거라 본다. 소위 ‘감성팔이’, ‘국뽕’에 의존한 영화가 아니다.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 송중기가 ‘측은지심’이라 표현했듯, 사람이 사람에게 가질 수 있는 ‘태도’에 대한 이야기다”라고 영화의 의미를 되새겼다.
특별히 배우들을 캐스팅한 이유로는 “황정민이 뮤지컬 배우이기도 하고 악기를 잘 다룬다. 경성의 화려한 무대에서 생활한 사람이 지옥 같은 상황에 갔을 때와 잘 맞겠더라. 황정민이 악단장으로 나오면 재미있겠다 생각했다. 김수안은 딸이면서 동시에 감성적인 파트너 역할을 할 아역을 찾던 중 춤을 너무 잘 추고 연기도 잘 하더라.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소지섭의 팬이었다. 저 배우의 육중한 느낌을 함께 하고 싶었다. 경성에서 잘 나가던 건달이 무릎을 굽혀야 할 상황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를 생각했을 때 남성성도 있고 믿음직한 배우로 소지섭이 맞겠더라. 실제로도 걸음과 말투가 느리다. 내 연출 요구가 힘들었을 텐데 잘 따라와줬다. 배우들이 모두 ‘스타’들인데, 한 번도 힘든 내색 안 하고 잘 해줬다. 이정현은 현장이 무겁고 힘든데도 항상 웃으면서 분위기를 업 시켜줬다. 현장의 꽃이었다. 송중기는 군 제대 직후였어서 우리 영화를 해줄까 싶었는데 흔쾌히 선택해줬다. 깜짝 놀랐다. 깍쟁이 같고 차가워보였는데 보기와 다르더라. 사람이 우직하다 못해 꾸밈없고 촌스럽더라. 주변도 잘 챙기더라. 이미지 관리가 아닌 천성인 것 같더라”고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배우 황정민과 김수안이 15일 오전 서울 용산구 용산동 국립극장박물관 극장 용에서 열린 영화 ‘군함도’ 제작보고회에 참석했다. /사진=지수진 기자
배우 이정현과 송중기가 15일 오전 서울 용산구 용산동 국립극장박물관 극장 용에서 열린 영화 ‘군함도’ 제작보고회에 참석했다. /사진=지수진 기자
극중 딸과 함께 군함도에 오게 된 악단장 이강옥 역의 황정민은 “위압적인 느낌이었다”고 군함도를 처음 본 소감을 전하며 “하지만 계속 있다보니 내 집 같은 느낌이 들더라. 보통 둘러보는 데 30분이 걸리는데, 스태프들과 관계자들에게 내가 설명을 해줬다. 춘천 시민 분들이 소란에도 잘 이해해 주시더라. 너무 감사하다”고 고마움을 표했다.
황정민은 “115회차 촬영을 하면서 크게 다치지 않아서 다행이었다. 그렇게 잘 갈 수 있었던 수장(류승완 감독)이 정확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모든 이들이 잘 작업할 수 있었던 것 같다”고 류승완 감독의 디렉팅에 혀를 내둘렀다.
경성 최고의 주먹 최칠성으로 분한 소지섭은 “위험한 촬영이 많아서 많은 체크를 한 후 촬영에 임했다”고 ‘군함도’를 촬영하면서 각별히 신경 쓸 수밖에 없던 배경을 언급했다. 극중 가장 돋보이는 목욕탕 액션 신을 언급하자 그는 “목욕탕에서 훈도시만 입고 액션 했다”고 밝혔다. 소지섭은 “류승완 감독과 함께 작업해 너무 좋았다. 영화에 미쳐계신 분 같았다”고 현장 속 류승완 감독을 떠올리며 감탄을 금치 못했다.
배우 김수안과 소지섭이 15일 오전 서울 용산구 용산동 국립극장박물관 극장 용에서 열린 영화 ‘군함도’ 제작보고회에 참석했다. /사진=지수진 기자
송중기는 조선인들의 탈출을 이끌 광복군 박무영을 연기했다. 송중기는 ”캐릭터에 대한 무게감은 당연히 있었지만, 본능적으로 연기했다. 인간에 대한 측은지심, 조국민들이 고생하고 있는데 다 같이 구해서 나가야 한다는 생각으로 연기했다. 영화가 실화에 기반한 작품이라서 소재에 대한 압박감이 있었다“고 역사적 현장을 재현하면서 느낀 고충을 말했다.
송중기는 ”군함도라는 장소와 역사적인 사실을 잘 몰랐던 게 사실이다. ‘무한도전’을 통해 안 게 전부였다. 나도 젊은 나이인데, 나보다 어린 친구들은 얼마나 더 몰랐을까 싶더라. 실제 소재가 사실이었던 만큼 그에 대한 공부를 많이 했다. 몰랐던 것이 부끄러웠다“며 ”작품이 주는 긴장감, 압박감으로 머릿속이 꽉 차 있었다“고 역할 몰입 과정을 설명했다.
강인한 조선 여인 말년으로 분한 이정현은 역할을 위해 36.5kg까지 체중 감량을 해 화제를 모았다. 이에 ”모두들 살을 엄청 많이 뺐다. 20kg을 뺀 출연자도 있었다. 원래 43kg이었는데 마른 몸에서 빼려다 보니 더 힘들었다. 현장에서 열심히 하는 감독님과 배우들을 보면 안 뺄 수가 없겠더라. 몸무게 감량은 어려운 부분이 아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송중기는 쉐이크 닭가슴살을 주로 먹더라. 황정민, 소지섭도 지식이 많아서 식단 관리를 잘 했다“고 전하자 송중기는 ”식사 시간이 가까워지면 류승완이 은근히 눈치를 주더라“고 덧붙여 웃음을 자아냈다. 여기에 류승완 감독은 ”어우 야~“라면서 ”배우들이 굉장히 고생을 많이 했다“고 감사함을 전했다.
이강옥의 딸 소희 역의 김수안은 ”2년 전 쯤에 MBC ‘무한도전’에서 군함도 이야기를 보고 마음이 아팠다. 시나리오를 받고서 이야기가 더 궁금해져서 역사책까지 보면서 공부했다. 아픔이 있는 곳이라고 느꼈다“고 역사적 사실에 관심을 가졌음을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또한 ”저 같은 어린 친구들이 역사 속에도 있지 않겠느냐. 그 친구들을 생각해서라도 열심히 연기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깊은 뜻을 전했다.
한편 ‘군함도’는 7월 개봉 예정이다.
류승완 감독이 15일 오전 서울 용산구 용산동 국립극장박물관 극장 용에서 열린 영화 ‘군함도’ 제작보고회에 참석했다. /사진=지수진 기자
/서경스타 한해선기자 sestar@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