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500대 기업, 여전히 호봉급이 가장 많아

국내 기업 근로자의 임금 체계는 능력이나 직무보다 근속연수(호봉급) 중심인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업무 성격과 난이도에 따라 임금이 달라지는 직무급 도입을 원하지만 기존 관행과 노동조합의 반발로 제도 변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18일 발표한 ‘2017년 500대 기업 임금체계 현황 조사’ 에 따르면 매출액 500대 기업에서 기본급에 대해 호봉급을 적용받는 근로자 수 비중은 43.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직능급(능력 기준) 34.5%, 직무급(일의 가치) 13.5% 순이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호봉급 비중이 0.2%포인트 감소해 사실상 정체 상태였고 직능급과 직무급 근로자수 비중은 0.4%포인트와 2.8%포인트씩 소폭 늘었다. 직종 별로는 생산직과 판매·서비스직은 호봉급 비중이 높았고 사무직과 연구직은 직능급이 많았다. 생산직 근로자는 호봉급이 70.6%, 판매·서비스직은 호봉급이 42.2%였다. 반면 사무직 근로자는 직능급이 57.7%, 연구직은 직능급 41.7%로 가장 많았다.

응답 기업들은 호봉급으로 근로자 성과관리 어려움(38.4%)과 장기근속자 고용유지 부담(33.8%), 경기변화에 능동적 대처 애로(20.5%)가 있다고 답했다. 그럼에도 호봉급을 유지하는 이유는 ‘기존 관행상 유지’(32.5%), ‘노조의 호봉급 폐지 반대’(31.1%)를 들었다. 호봉급의 장점인 ‘장기근속 유도’는 11.3%에 그쳤다. 현행 임금체계의 문제점으로는 ‘성과가 달라도 보상 수준이 비슷해 무임승차자 발생’(42.7%) 응답이 가장 많았다.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임금체계 개선 사항으로는 ‘기본급 인상률을 차등하는 제도 도입’(40%), ‘성과급 비중 확대’(24.5%)를 들었다. 한경연은 “해외 선진국에서는 직무, 직능급이 보편적이고 호봉급 중심으로 알려진 일본에서도 이미 직무·직능급이 주된 임금체계로 자리잡았다”며 “우리도 직무급 중심으로 임금 체계가 개편할 수 있도록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을 위해 정부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신희철 기자 hcshi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