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북항 전경.
선박 매연으로 인해 부산의 공기가 심각하게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청정 항만이라는 부산 지역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전국 주요 도시 가운데 최악으로 평가됐다. 18일 부산시 등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의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27㎍/㎥을 기록하며 서울(26㎍/㎥)·인천(26㎍/㎥)보다 오히려 높았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기준인 10㎍/㎥의 3배에 가까운 수치로, 도쿄(16㎍/㎥)나 런던(15㎍/㎥)보다도 높다. 특히 같은 항구이자 중국과 가깝고 발전소가 많은 인천보다 심한 것이다.
이러한 초미세먼지는 선박의 왕래가 많은 부산항만 일대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보편적인 시각이다. 동북아 최대의 환적항이자 세계 6위의 컨테이너 항만인 부산항에는 지난해 컨테이너선 1만5,368척, 일반화물선 5,000척, 원양어선 1,100척, 수리선박 1,300척, 크루즈선박 210척 등이 오고 갔다. 최근 국립환경과학원 자료를 분석한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 따르면 부산의 오염원 가운데 비(非)도로 부분이 전체의 77%를 차지했다. 비도로 가운데 절반은 선박에서 배출됐다. 전국 평균 비도로 이동오염원은 18% 수준이다.
KMI 관계자는 “선박 연료인 벙커C유 등에서 발생하는 황의 양은 일반 자동차의 3,500배”라며 “초대형 크루즈 1대는 디젤승용차 350만대의 이산화황 배출량과 같고 중국 입출항 컨테이너선 1척이 하루 배출하는 초미세먼지는 트럭 50만대와 유사하다”고 설명했다. 이산화황은 이산화질소와 함께 공기 중에서 화학반응을 거쳐 초미세먼지로 변환되는 물질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부산시는 미세먼지 정책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해 2020년까지 742억원을 투입하는 ‘부산항 초미세먼지 개선방안’을 시행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부산항을 기항하는 대형선박 연료유의 경우 높은 함량의 황산화물 배출가스가 발생하는 고유황 벙크유에서 저유황 경유로 대체 공급해 오염물질 배출량을 줄이고 이에 따른 연료유 가격 차이는 보상하는 방안과 부산항에서 운행 중인 야드트랙터 679대의 엔진을 LNG 엔진으로 교체하는 것이 주요 계획이다.
시는 지난 16일 부산해양수산청, 부산항만공사, 한국전력공사 등과 ‘클린 부산항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도 맺었다. 협약은 선박과 부산 항만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영향이 심각하지만 기관별로 초미세먼지 관련 정책이 분산돼 효율적으로 정책을 추진하기 어렵다는 지적에 따라 부산시와 항만 유관기관, 시민단체 등이 공동으로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하고 그 첫 단계로 기획됐다.
부산시 관계자는 “그동안 미흡했다고 지적됐던 초미세먼지 발생 원인과 규명에 나서기 위해 다음달 신항과 북항에 측정소를 2개소 신설하고 9억원을 들여 올해 안으로 수동 분석기 3대를 자동 분석기로 교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