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은 19일 오전 10시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에서 고리1호기의 공식 폐로 행사를 열었다.
고리1호기 전경. 19일 0시 가동을 멈추고 영구정지됐다. /연합뉴스
한수원은 행사에 앞서 지난 17일 오후 6시 고리1호기의 터빈 발전소를 수동정지하고 이어 38분 뒤 원자로의 불을 껐다. 평소 300도에 달하던 고리1호기의 온도는 이때부터 서서히 식어 19일 0시 영구정지 기준인 약 93도까지 떨어졌다.
영구정지에 들어간 고리1호기는 15~20년이 걸리는 ‘즉시해체’하는 것으로 결정돼 곧바로 해체 절차에 착수한다. 10~60년이 걸리는 ‘지연해체’와 비교해 해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데다 빠른 부지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가장 먼저 진행되는 일은 해체계획서를 마련하는 일이다. 한수원은 2019년 상반기까지 해체계획서 초안을 마련하고 이후 사용후핵연료가 저장될 건식저장시설 구축 등 원전 해체와 관련해 지역 주민 의견을 수렴한다. 주민들의 의견을 참고해 계획서를 보완한 뒤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해체계획서에는 해체계획의 개요, 사업관리, 부지 및 환경현황, 해체전략과 방법, 방사성폐기물 관리 등의 내용이 담긴다. 해체계획서 작성과 승인은 2022년 6월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이후 2025년12월까지 사용후핵연료를 냉각하고 반출하는 과정이 이어진다. 습식저장시설에 보관 중인 사용후핵연료를 6~7년간 충분히 냉각시키고 발전소 내에 구축할 예정인 건식저장시설에 한시적으로 보관한 뒤 최종적으로는 고준위방폐물 처분시설로 이송할 방침이다.
2030년12월까지는 발전소 내 시설물이 본격적으로 해체된다. 해체계획서가 승인되면 비(非)방사능시설인 터빈건물을 우선적으로 철거해 그 자리에 폐기물 처리 시설을 구축한다. 사용후핵연료가 반출된 이후에는 원자로 압력용기와 내부구조물 등 방사능에 오염된 시설의 제염과 철거를 진행한다. 한수원은 원자로 시설의 해체현황과 방사성 오염의 제거 현황, 방폐물 관리 현황 등은 반기에 한 번씩 원안위에 보고해 점검을 받는다.
2032년12월까지는 마지막 과정인 부지 복원작업이 이뤄진다. 재사용이 가능한 수준으로 복원하는데 부지에 대한 활용계획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지역 의견과 전문가들의 자문 등이 종합적으로 검토돼 활용 계획이 수립될 예정이다.
이 모든 과정을 거치는 데 들어가는 해체 비용은 산업통상자원부 고시에 따르면 6,437억원으로 추산된다.
◇고리1호기 해제 로드맵 자료:산업통상자원부
‘대한민국 1호 원전’ 고리 1호기의 영구 정지는 우리나라 원전 정책에도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고리1호기 퇴역을 계기로 문재인 대통령은 탈핵에너지 로드맵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2012년 설계수명을 다한 월성1호기가 두 번째 영구정지 수순을 밟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월성1호기를 포함해 오는 2030년까지 설계수명이 만료되는 원전은 총 12기다.
여기에 미세먼지 저감 대책으로 화력발전소마저 가동을 일시 정지시키는 등 새 정부는 원전과 화전의 빈자리를 신재생에너지로 채워나갈 계획이다. 올해 말 발표되는 8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서 이에 대한 로드맵이 제시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발전단가가 낮은 원전과 화전을 포기하게 되면서 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또 신재생에너지는 외부 환경 요인에 따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 전력공급 차질에 대한 사전 대비도 철저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