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인드 채용인데 '지역 인재 30% 할당'은 어떻게…

해당 지역만 별도 채용·이력서 분리 등 검토

문재인 대통령이 혁신도시 공공기관 채용의 경우 ‘지역 인재 30% 할당’ 방침을 밝힘에 따라 채용 방식과 내용에 대한 궁금증이 일고 있다.

블라인드 채용은 출신 지역과 학교 등을 이력서에 밝히지 않는데 취업 희망자가 지방 출신인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를 놓고 의문이 제기된다.


23일 복수의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정부는 이러한 우려를 차단하기 위해 ‘지역 별도 채용’과 ‘면접위원-기관 이력서 분리’ 등 두 가지 방안을 대안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우선 지방공기업의 경우 기업이 위치한 해당 지역만 별도 채용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다. 대학입시에서 특별전형을 하는 것처럼 지역전형을 채택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전남 나주에 위치한 지방공기업은 채용 인원의 70%는 전국 단위로 뽑고 나머지 30%는 전남 출신 인재를 뽑는다. 전남 인재 30%는 전남 지역만 따로 채용 절차를 진행한다.

이력서를 분리하는 방안도 있다. 우선 원서 제출 단계에서는 ‘지역 인재’를 표기하되 면접위원에게는 지역 인재 표기가 빠진 별도의 이력서를 전달하는 것이다. 면접이 끝난 뒤 지역 인재 이력서만 모아 합격생을 따로 추리겠다는 것이다. 해당 응시생이 지역 인재인지 아닌지는 면접기관 인사부서만 확인할 수 있다.

공기업과 지방공기업을 담당하는 기획재정부와 행정자치부는 조만간 이에 대한 세부 지침과 표준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인사혁신처는 이번 기회에 공무원 경력채용 과정에서 몰래 학력을 보고 뽑는 행태도 뿌리 뽑겠다는 방침이다. /류호기자 rho@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