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박열’ 최희서 “이준익 감독이 ‘조디 포스터’에 비유해주더라”

“우리, 동지로서 동거합시다”

박열과의 첫 만남에 대뜸 제안을 꺼낸 가네코 후미코, 그리고 배우 최희서에 절로 눈길이 끌린다. ‘박열’(감독 이준익)은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볼 수 있는 영화다. 일제강점기에서 한국의 아나키스트 박열, 혹은 일본의 아나키스트 후미코를 초점으로 삼을 수 있다.

배우 최희서 /사진=조은정 기자


어느 시선에서 봐도 파격적인 ‘박열’은 무엇보다 최희서를 빛나게 한 작품임에 틀림없다. 물론 박열 역을 통한 이제훈의 ‘역대급 변신’도 돋보이지만, 당대에 자국의 만행을 지적하며 자신의 신념을 고수한 ‘신여성’ 후미코가 최희서로 인해 완벽하게 재현됐다.

최희서는 완벽한 일본어 구사는 기본, 탄탄한 연기 내공으로 이미 ‘동주’ 때부터 이준익 감독이 꿰뚫어 본 배우다. 이지적이고 강인한 면모가 실제 후미코와 닮아 있었다. 영화 속 그의 등장으로 ‘박열’은 한층 익살스럽고 활발한 톤 앤 매너를 띤다. 암울한 시대 속 이 같은 기개를 잃지 않은 정신이 곧 ‘박열’이다.

‘박열’은 1923년 도쿄, 6천 명의 조선인 학살을 은폐하려는 일제에 정면으로 맞선 조선 최고 불량 청년 박열(이제훈)과 그의 동지이자 연인 후미코(최희서)의 믿기 힘든 실화를 그린 작품. 극중 최희서는 가네코 후미코 역을 맡아 일본 제국주의와 천황제를 반대하며 항일운동의 과정을 연기했다.

배우 최희서 /사진=조은정 기자


-스포트라이트를 많이 받는 이번 영화, 감회가 남다를 것 같다.

얼떨떨한 기분이다. 영화 자체로 너무 좋았다. 이번에는 연기만 한 것이 아닌, 시나리오 작업 단계에서부터 조금씩 참여를 했다. 아무래도 일본어를 예전부터 잘 알고 그런 시대적 분위기를 잘 알고 있어서 감독님을 도와 배우들을 캐스팅하고, 번역하는 작업도 함께 했다. 출연작이라는 개념 이상으로 애착이 간다. ‘동주’ 때도 번역에 참여한 적이 있다. 이번에는 (김)인우 선배가 내각 장면을 번역하시고 나머지 장면을 내가 번역했다.

-역사적 실화를 그리는 영화라 부담스럽진 않았나?

‘가네코 후미코’라는 일본어 평전이 있다. 박열사 기념관에서 그 책을 구해서 참고도 많이 했다. 재판기록 자체가 일본어로 남아있어서 도움이 많이 됐다.

-영화 속에 실제 ‘박열 사건’을 다룬 아사히 신문·산케이 신문의 기사가 나온다. 자료 수집 과정이 쉽지 않았을 텐데

직접 아사히 신문사, 산케이 신문사에 열람을 해서 박열과 후미코 관련 자료를 요청했다. 처음에는 그들이 그저 사무적인 태도로 자료를 넘겨줬는데, 나중에는 그렇게 많은 기사들이 올라왔다는 걸 처음 알고서 적극적으로 도와줬다. 일본에서는 교과 과정에 ‘조선인 대학살’ 내용을 빼고 ‘관동대지진 사건’만 역사책에 넣었다. 그렇기 때문에 더 놀란 것 같다. 무료로 열람할 수 있었는데, 그렇게 흔쾌히 자료를 제공한 데서 놀랐다. 사료를 학자처럼 관리하고 기록을 보존하는 직업 정신이 대단하다고 생각했다. 프로페셔널 했다. 오히려 일본에서 ‘박열’은 개봉을 안 하냐고 궁금해 했다. 일본 저작권 협회 회장은 ‘이 시대의 일본을 우리도 잘 모른다. 우리가 알아야 하는데 감추기만 하는 것 같다. 일본사람들 사고방식에 전환이 필요하다’고 했다. 우익단체는 역사를 숨길 수 있다고도 보지 않느냐. 자료 수집 과정에서 하늘이 도왔다고 생각한다.

-가네코 후미코의 삶, 처음 접했을 때의 느낌은?

기질적으로 나와 비슷한 면이 많았다고 생각했다. 나도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는 성격이다. 어렸을 때 기억 중에 남자 아이들이 나를 무시하면 오히려 맞서서 싸웠던 게 있다. 후미코의 특별한 점은, 그녀가 아무것도 없는 빈민계층인 상태에서 자랐음에도 불구하고 꺾이지 않고 본인이 갈 길이 무엇인지에 대해 일찍 자아성찰을 했다는 것이다. 평전이 나온 이유도 그것에 기인한다고 본다. 23세에 세상을 떠났는데, 박열을 사랑하는 후미코를 그린 이 영화를, 그녀도 하늘에서 좋아할 것 같다.

배우 최희서 /사진=조은정 기자


-유창한 일본어 연기와 어눌한 한국어 연기 중 어떤 게 더 어려웠나?


한국어를 어눌하게 연기하는 게 기술적으로 제일 어려웠다. 감정선은 연구를 할 수 있지만, 발음 자체부터 못 해야하다보니 ‘어색하면 어떡하지?’, ‘집중이 깨지면 어떡하지?’라며 걱정했다. 연습 할 때는 내가 일본 사람이 됐다고 생각하고, 대본에 적힌 한글을 히라가나로 표기해 읽어봤다.

-이준익 감독과 이제훈 모두 ‘최희서가 아닌 후미코는 상상할 수 없다’고 극찬했는데

감독님께서 원하시던 수준이 일본 여자처럼 보일 정도여야 했다. 일본 관객들도 어색함 없이 볼 수 있어야 한다고 하시더라. 그러면서 인물의 개연성을 가장 중시 했다. 어릴 때 일본에서 살던 경험이 있어서 예전에는 완벽하게 일본어를 했지만, 한국에서 오래 살면서 퇴화 됐었다. 다행히 인우 선배에게 발음 교정을 받았다. 이번에 영화에서 크게 활약하시면서 반응도 좋았던 김준한 선배에게는 저희가 ‘다테마스타’라 부르게 됐는데, 다테마스는 한국사람 중에 일본말을 잘하는 사람으로 뽑되, 척추 역할을 잘하도록 연기를 잘해야 했다. 그런 사람을 함께 캐스팅하는 게 내 역할이기도 했다. 준한 선배께서 단편, 독립 영화를 많이 하셔서 흡입력이 좋으시더라. 시사회 이후에는 선배의 스타그램이 생겼다. 그래서 ‘불령사 채팅방’에 알려줬다.(웃음)

-워낙 호쾌한 이준익 감독 영화라 촬영 현장 분위기도 좋았을 것 같다.

엄청 화기애애했다. 누구보다 감독님이 제일 신나하셨다.(웃음) 현장에서 스태프와 의논하고 촬영하는 걸 좋아하셨다. 기둥(이준익)이 가장 에너지가 좋아서 저희는 저절로 따라갔다. 감독님은 단 한 번도 부정적인 코멘트를 안 하셨다. ‘동주’ 때부터도 그랬다. 출연진이 자신감을 가지고 연기할 수 있도록 해주신다.

-선배 이제훈이 오히려 최희서를 의지했다는 말도 했다.

사실은 내가 의지를 많이 했다. 내가 ‘파수꾼’ 때부터 팬으로, 롤모델로 생각한 분이 이제훈 선배다. 얼마나 이 분에게 많은 걸 배울 수 있을까 기대했다. 확실히 현장에서 집중도가 좋더라. 여태까지 본 배우 중에 가장 진중하고 집중도가 좋았다. 내가 연기할 때는 도움 될 수 있도록 본인 연기에 더 신경 써주셨다. 감동스러웠다.

배우 최희서 /사진=조은정 기자.


-‘박열’로 ‘이준익 감독의 뮤즈’라는 수식어가 생겼다.

얼떨떨하다. 하늘을 난다기보다 ‘나에게 무슨 일이 일어난 거지?’ 싶다. 기쁘면서도 조심스럽다. 앞으로 인터뷰도 잘 해야겠고 홍보활동도 잘 해야겠다. 수식어가 너무 마음에 든다.

-신예임에도 쏟아지는 관심이 예사롭지 않다. 연기는 어떻게 시작했나?

2005년부터 연극을 했고, 상업영화는 2009년부터 했다. 대학교 시절에 연극 동아리였다. 옛날에 학예회에서 주인공으로 연기를 하면서 배우를 하고 싶다는 생각은 있었다. 되게 뿌듯했다. 대학 들어가고서 부모님께서 하고 싶은 거 해보라 하시길래 연기를 시작했다.

-일본어를 구사하는 실력을 보니 언어 감각이 뛰어난 것 같다.

아버지 일을 따라 다니면서 일본에서 5년, 미국에서 3년 살았다. 어렸을 때부터 외국어를 습득해야 하는 환경이었다. 한국과 일본 교과과정을 병행했는데 수학은 못 한다.(웃음) 11살 때부터 두통이 있어서 물어보니 선생님께서 ‘외국어를 갑자기 하다 보면 그럴 수 있다’고 하시더라. 사실 적응을 해야 한다는 스트레스가 컸다. 해외에서 이방인이라는 생각이 있었다. 동양인이라고 무시하는 것도 있었다. 미국 동부, 유태인 마을에서는 그 당시에도 차별이 심하더라. 거기서 사춘기를 보내면서 우울하기도 했다. 그래서 해소하고자 책을 많이 읽었다. 글도 많이 썼다. 모험을 하고 싶은 마음에 미국 고등학교에서 치어리더를 한 적이 있다.

-그래서 가네코 후미코의 감정에 더 잘 이입된 것 같다.

후미코를 연기하면서 어린 시절이 생각나더라. 후미코는 일본인으로서 한국에서 유학했지만, 나는 한국인으로서 일본에 산 유년기가 있었다. 국적이 다른 사람들과 친구가 되는 것에서 공감이 많이 됐다. 외국에서 소외돼 본 캐릭터를 만난 게 행운이라 생각한다.

-앞으로 어떻게 평가를 받는 배우가 되고 싶은가?

이준익 감독님께서 ‘조디 포스터’를 언급하시면서 ‘지적인 여배우는 너의 것이다’라고 하시더라. 지금 내 나이 또래 배우들이 한창 좋은 활동을 많이 하고 있는데, 나 또한 연기자로서 진솔한 연기를 하고 싶고, 믿고 기대할 수 있는 배우가 되고 싶다. 장르와 캐릭터에 국한되고 싶지 않다.

/서경스타 한해선기자 sestar@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