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중기획 Safe Korea] 벌써 무더위…'폭염 위험' 전북·서울로 확대

창원 위험 수치 지자체 중 최고
전주·포항도 1등급 지역 포함
폭염 사망자 7말8초 가장 많아
취약지역 맞춤형 예방활동 필수

서울및 경기지역에 폭염주의보가 발령된 지난달 시민들이 이글이글 아지랑이가 피어오르는 영등포구 여의대로를 걷고 있다./이호재기자


온난화의 영향으로 국내 폭염 현상도 심해지고 있다. 국민안전처는 ‘폭염 위험지수’를 통해 전국의 위험지역을 공개하며 맞춤형 예방활동을 당부했다. 폭염 최고수준인 1등급 범위가 경상권을 넘어 전북의 전주·익산 등으로 확대되는 상황이다.

2일 안전처가 재난안전사고 통계에 빅데이터 분석을 추가해 ‘폭염 위험지수’ 1~6등급을 기초지방자치단체별로 산출한 데 따르면 전체 1등급(상위 10%)은 기존 대구와 광주 경계를 넘어 경북에서 의성군·포항시가, 전북에서는 전주시·익산시까지 확대됐다.

또 2등급(상위 10~20%)에는 전북 부여군·완주군과 함께 서울 노원구가 포함됐다. 노원구는 2등급 가운데 국내 위도상으로 가장 높다. 이어 3등급(상위 20~50%)은 전국적으로 확산됐다. 3등급은 서울에서 강서구·성북구·은평구· 관악구· 송파구· 중랑구가 포함됐다.

폭염 위험지수는 기후적 요인과 함께 인구구조학적 분포를 반영해 폭염과 관련된 폭염일수(일 최고기온 33도 이상), 열대야일수(일 최저기온 25도 이상), 사망자수, 독거노인수, 농림어업종사자수 등을 종합해 산출됐다.




덧붙여 국내에서 기초지자체 전체에서 폭염 위험지수의 수치가 가장 높은 지역은 창원시로 6.4를 기록했다. 이어 포항시(6.1), 경주시(5.8), 제주시(5.1), 전주시(4.9), 대구 동구(4.6) 순이었다. 서울 지역에서는 노원구(2.1)가 가장 높고 종로구(1.2)와 중구(1.0)가 가장 낮았다.

등급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사회적으로 폭염에 취약하다는 뜻이다. 폭염 사망자는 기후적 요인과 함께 독거노인·농림어업종사자수가 많을 때 늘어난다. 고령층 등 더위에 취약한 직업군이 폭염 피해를 확대시키기 때문이다. 안전처 관계자는 “폭염 위험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폭염피해 예방활동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폭염 관련 사망자는 보통 7월 3주차부터 급증해 7월말부터 8월초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올해 폭염은 더욱 앞당겨지고 강해질 것으로 안전처는 전망했다. 최근 3년 평균 폭염 첫 발생일은 5월24일이었는데 올해는 이미 5월19일에 시작됐다.

이와 함께 안전처는 7월의 중점 관리대상인 재난안전사고로 △폭염과 함께 △호우 △산사태 △수난사고 △추락 △환경오염 등을 선정해 관련 지자체와 주민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올해 7월은 강수량이 평년보다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통계적으로 호우의 연중 발생빈도가 가장 높고 인명재산 피해도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다. 집중호우에 따른 산사태도 7월이 연중 가장 많다.

안전처의 설명 가운데 특이한 것은 유해화학물질 유출 등 환경오염 사고가 7월이 연중 최다라는 점이다. 비오는 날 폐수와 폐기물을 무단방류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월평균 환경오염 사고는 13.7건이지만 7월에는 23.3건으로 두 배에 가까웠다.

/최수문기자 chsm@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