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금통위 금리 동결 유력 가운데 ‘소수의견’ 촉각

전문가 98% 만장일치 동결 예상
성장률 2.8%로 상향 조정 전망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4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13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은 거의 기정사실화돼 있다. 관심은 앞으로의 ‘인상 신호’다. 한은은 그동안 소수의견을 피력한 후 한두 달 뒤 금리를 변경해왔던 점을 고려할 때 시장은 소수의견이 있는지 여부에 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번 금통위에서 한은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도 0.2%포인트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기준금리는 지난해 6월 0.25%포인트 인하된 후 3개월째 방향성이 없다. 하지만 이번 금통위는 상황에 변화가 생겼다. 이주열 총재가 한 달 전 한은 창립기념사를 통해 “통화정책 완화 정도 조정이 필요하다”며 종전과는 다른 방향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한은 안팎에서도 통화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선진국에서도 경기회복에 힘입어 중앙은행들이 점진적인 유동성 회수에 나서는 분위기다.

물론 이번 금통위도 금리 동결에 무게가 실린다. 금융투자협회가 채권전문가 2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서도 98%가 한은이 이달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골드만삭스와 노무라증권·HSBC 등 글로벌 투자은행(IB)도 금리 동결을 예상하고 있다. 이유는 대동소이하다. 수출이 증가하고 있지만 소비의 회복세가 더디다. 1·4분기 민간소비 증가율은 0.4%에 불과했다. 여기에다 유가 하락이 물가를 끌어내려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도 크지 않다. 일자리를 늘려 내수의 불씨를 살리려는 정부가 11조원대의 추경을 편성했기 때문에 한은이 당장 내수 위축을 야기할 수 있는 금리 인상을 단행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그렇지만 앞으로는 한은의 선택지는 금리 인상밖에 남지 않았다. 미국이 올해만 두 차례에 걸쳐 금리를 인상한 데 이어 앞으로 한 차례 추가 금리 인상, 자산축소(9월)도 예고했기 때문이다. 유럽중앙은행(ECB) 역시 양적완화 축소( 테이퍼링)를 언급하고 있다. 6·19 부동산 대책에도 식지 않는 부동산 시장을 잡기 위해 금리를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이미 이 총재는 지난달과 이달 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발언을 두 차례나 했다. 소수의견이 나오면 시장의 금리가 요동칠 수 있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미국이 금리를 추가로 더 올릴 경우 한은이 버티는 데도 한계는 있다”면서 “이번 금통위에서는 좀 더 확실한 신호를 주지 않겠느냐”고 말했다./구경우기자 bluesquare@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