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숙 두루아트스페이스 대표
얼마 전 ‘작가 장터’ 기획자의 인터뷰 기사를 접하며 우리 미술 시장의 현주소를 마주했다. 지금은 아트페어로 시행되고 있지만 본래 하고 싶었던 것은 예술축제이자 그룹전이며 이러한 행사를 개최하게 된 것은 무엇보다 작가들이 화랑에 흡수되기를 바라서였다고 했다. 하지만 기획자의 본래 의도와는 상관없이 ‘직거래’ ‘장터’라는 이름으로 개최된 그들의 축제는 의미가 퇴색했고 미술 시장의 유통질서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미술 시장의 기본을 이루는 1차 시장인 ‘화랑’은 창작물 유통의 역할을 맡고 있으며 그 기능은 시장에서 미술품 가격을 형성하는 데 있어 아주 중요한 부분이다. 미술작품의 경제적 가치실현을 추구하고 예술을 자본으로 환원하는 것이다. 이렇게 환원된 자본은 결국 작가에 대한 경제적 후원으로 이어지게 되며 이러한 순환구조는 작가와 화랑, 그리고 미술 시장이 서로 유기적으로 작용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자 오로지 화랑만이 수행할 수 있는 본연의 임무이기도 하다.
이번에 열렸던 작가들의 직거래장터도 정부의 후원 아래 이뤄졌다고 하는데 새로운 신진작가를 대중적으로 알리는 데는 적극 찬성하지만 이미 화랑들과 긴밀한 관계 속에서 일하는 작가들까지 참여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인 지원에는 좀 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미술작품은 공산품이나 소모품과는 달리 한 번 창작되면 사회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생명력을 지녔기에 아무런 거름망 없이 무분별하게 생산·유통된 일부 미술품들은 결국 다양한 형태로 미술문화 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화랑의 공적 역할로 전시를 통한 작가의 성장기회 마련이 최우선으로 꼽힌다. 그러나 지금은 아트페어가 세계 미술 시장에서 중요한 축을 쥐고 있어 화랑은 전시와 아트페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동시에 지고 있다. 하지만 화랑들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외의 많은 쟁쟁한 화랑들과 경쟁해야 하며 막대한 자본 투자와 조직적인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과 재정적인 도움이 절실하다. 시장의 질서를 세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장 육성 및 진흥책이 함께 병행돼야 미술문화가 확대되고 성장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