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TV] 문재인 정부 화두 ‘동반성장’… ‘착한 기업’ 바람

文 정부, 대·중소기업 상생발전 통한 ‘동반성장’ 강조
재벌개혁·중소벤처기업 위주 정책 전환 구상
‘착한 기업’이 뜬다… 재계, 상생 협력 본격화
현대기아차, 2·3차 협력사와 동반성장 모색
1,000억원 규모·시중 금리 대비 1.5% 저금리 대출
삼성전자, 협력사 물품대금 30일 이내 현금 지급
‘물대지원펀드’ 조성… 2·3차 협력사 숨통 틔운다
포스코, 기술나눔 확산 위한 업무 협약 체결
‘기술&mi

[앵커]

문재인 정부의 주요 정책 과제 중 하나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동반 성장입니다. 새 정부 경제정책의 주요 화두로 ‘동반성장’이 떠오르면서 대기업들이 발 빠르게 관련 활동을 확대하고 나섰는데요. 현대기아차, 삼성전자 등은 정부의 기조에 맞춰 대·중소기업간 상생협력과 공정한 시장질서 구축에 앞장선다는 계획입니다. 자세한 이야기 경제산업부 김혜영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기자]

네. 안녕하세요

[앵커]

우선, 문재인 정부에서 강조하는 ‘동반성장’이란 무엇인가요?

[기자]

문재인 정부에서 강조하는 핵심 과제 중 하나가 바로 ‘동반성장’입니다.

말 그대로 대기업이 중소기업 간의 상생과 발전을 통해 함께 성장해야 된다는 건데요.

대기업이 국내 많은 중소기업 즉, 협력 회사들과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건전한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실질적인 방안을 만들어가자는 겁니다.

문재인 정부는 출범 초기부터 동반·상생에 대한 확실한 의지를 천명했습니다.

재벌개혁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내비치며 재벌·대기업 위주의 경제정책을 중소·벤처기업 위주의 정책으로 전환하겠다는 포부를 드러냈죠.

이에, 기업들 역시 문 정부의 화두인 ‘상생·동반성장’에 공을 들이고 있는 모습인데요.

실제, 새 정부의 기업 철학에 대한 청사진이 윤곽을 드러내면서 재계가 본격 화답하는 모습입니다.

이른바 ‘착한 기업’ 바람이 불고 있는 건데요. 재계가 2차·3차 협력사와의 상생 경영 방안을 속속 공개하고 있습니다.

실제, 지난 11일이였죠. 새 정부 들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인 삼성, 현대, 롯데 등 15대 대기업 관계자들은 동반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솔선수범하기로 뜻을 모았습니다. 또한, 다음 달 중순쯤 문 대통령과 공식 회동한다는 계획입니다.

[앵커]

실제, 이에 발맞춰 현대·기아차가 오늘 기존 1차 협력사에서 2·3차 협력사까지 상생협력 지원 대상을 확대한 ‘선순환형 동반성장’ 5대 전략을 발표했다고요?

[기자]

네. 현대기아차가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에 팔을 걷어 부쳤습니다.

현대기아차는 직접적인 거래관계가 없는 2·3차 협력사의 고용창출과 자금운용을 위해 대대적인 지원에 나섰습니다.

2·3차 협력사의 성장을 도움으로써 자동차 부품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협력사 간 상생협력을 통해 선순환 구조를 창출하자는 취지인데요.

현대차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최근 최저임금 인상으로 2·3차 협력업체들의 부담이 높아지자 이를 상쇄하고 도움을 주고자 5대 전략을 발표했다는 설명입니다.

우선, 기존 1차 협력사 위주로 진행하던 사업을 직접 거래가 없는 2·3차까지 대상 범위를 넓혔습니다.

현재 300곳 정도의 1차 협력사를 포함해 5,000곳 이상의 2·3차 협력사로 그 규모를 대폭 확대했는데요.


이를 위해 500억원의 규모의 ‘2·3차 협력사 전용 기금’도 조성을 했습니다.

이 자금을 바탕으로 2·3차 협력사의 경영 개선과 경쟁력 강화, 기초 R&D 역량 제고 등에 지원한다는 계획입니다.

또, 경영 자금 개선을 위해 2·3차 협력사를 위한 전용 자금대출 프로그램도 내놨습니다.

1·2·3차 협력사들 간에 대금이 원활히 지급될 수 있도록 한다는 건데요, 이에 따라 2·3차 협력사의 숨통도 트일 것으로보입니다

규모는 1,000억원으로 시중 금리 대비 1.5% 우대 금리로 대출이 가능합니다.

또한, 2·3차 협력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등을 갖춘 대규모 ‘상생협력센터’(가칭)도 건립합니다.

협력사 임직원 대상 교육 프로그램 및 우수 기술 전시회 등의 거점으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앵커]

비단 현대차뿐만이 아니죠. 삼성, LG 등 다른 대기업도 협력업체와의 다양한 공동성장 방안을 내놓고 있다고요?

[앵커]

네. 대기업들이 협력업체와 동반성장을 꾀하며 착한기업 만들기에 분주한 모습입니다.

앞서 삼성전자는 파격적인 상생 방안을 내놓으며 주목을 받았는데요.

올해 6월부터 1차 협력사가 2차 협력사에게 물품대금을 전액 현금으로 30일 이내 지급하도록 하는 물품 대금 지급 프로세스를 실시 한 겁니다.

그동안 1차 협력사는 2차 협력사에 만기 60일짜리 어음으로 물품대금을 지급하는 것이 오랜 관행이어서 2차 협력업체들의 주요 애로사항으로 꼽혀왔는데요.

이를 해결키 위해 총 5,000억원의 ‘물대지원펀드’를 조성했습니다.

이 펀드는 1차 협력사가 은행에 물품대금 지급용으로 대출신청을 하면 2차 협력사와의 월평균 거래금액 안에서 필요한 금액을 1년간 빌려주는 제도입니다.

대출기간은 1년 더 연장도 가능합니다.

삼성전자는 이 펀드를 2020년 5월까지 3년간 운영하고 앞으로 협력사들의 요청이 있으면 연장 여부를 검토한다는 계획입니다.

포스코는 올해 기술나눔 확산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는데요.

포스코가 보유한 300개의 우수기술을 협력업체 24곳에 무료로 개방키로 한 겁니다.

기술과 노하우 전수를 통해 협력업체들의 기술 경쟁력을 키우고 동반성장, 상생 협력을 꾀한다는 취지입니다.

LG디스플레이는 1차 협력사 위주로 진행됐던 복지를 2·3차 까지 확대했습니다

LG디스플레이 사업장에서 1년 이상 근무한 1, 2, 3차 협력사 직원이 암이나 희귀질환에 걸릴 경우 최대 1억원까지 의료비를 지원키로 결정한 건데요.

2·3차 협력사에게 포괄적 복지제도를 시행하는 건 LG디스플레이가 처음입니다.

지금까지는 본사 직원에게만 이런 의료비 지원을 시행해 왔는데요. 이번 복지제도 개정으로 새롭게 의료비 지원 대상이 된 협력사 직원 수는 1만여명에 달합니다. 특히 질환과 업무 간 상관 관계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도 의료비를 지원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동일 사업장에 근무하지만 직고용이 아니기 때문에 느낄 수 있는 상대적 박탈감을 없애고 복지제도 개정을 통해 협력사와 상생하겠다는 취지입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