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시작전권 전환 한발 물러선 건 잘한 결정이다

새 정부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문제에 대해 신중한 입장으로 돌아섰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는 ‘국정운영5개년계획’에서 전작권 전환 시점과 관련해 ‘임기 내’에서 ‘조속한 전환’으로 바꿨다. 대통령 공약사항이라며 시기를 못 박았던 기존 입장에서 일단은 한발 물러서는 모양새다.


정부가 전작권 전환 문제의 완급을 조절하고 나선 것은 당연하고도 올바른 결정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한미 정상 간의 합의 사항을 반영하라며 직접 지시했다니 더욱 힘이 실리게 마련이다. 새 정부가 지향하는 ‘강한 안보와 책임 국방’을 실현하기 위해서도 전작권 전환은 서두르지 말고 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문 대통령이 국방예산을 임기 내 국내총생산(GDP)의 2.9%까지 높이겠다고 한 것도 전작권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장병 월급을 올리는 데만 7,600억원의 재원이 소요되고 병력을 50만명으로 줄이고 복무기간도 18개월로 단축하는 등의 국방개편까지 고려하면 경제적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최근의 긴박한 한반도 상황에서 독자적인 안보능력에 불안감을 갖는 국민들이 많다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전작권 문제는 문 대통령이 현실적 여건을 고려해 개혁정책에 대한 속도 조절에 나섰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문 대통령이 여야 대표와의 청와대 회동에서 “최저임금을 올해 1년 해보고 속도 조절을 할지, 이대로 갈지 결론을 내겠다”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문 대통령 스스로도 “제가 공약을 했다고 해서 밀어붙이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런 유연한 자세는 전작권뿐 아니라 원전정책이나 비정규직 문제 등에도 절실하게 요구된다. 새 정부는 현장의 목소리를 많이 듣고 사안에 따라 정책의 완급을 조절하고 탄력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그래야만 5년 임기의 정부가 모두를 포용하는 진정한 ‘국민의 나라’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