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금융투자업계와 회계법인에 따르면 KAI는 최근 회계처리 방식을 바꿔 실적을 부풀렸다는 의혹으로 금융감독원의 정밀감리와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검찰은 KAI가 총 3조원대의 이라크 경공격기 FA-50 수출 및 현지 공군기지 건설사업을 비롯한 해외사업을 수주하고서 이익을 회계기준에 맞지 않게 먼저 반영하거나 고등훈련기 T-50 계열 항공기와 기동헬기 수리온 등 주력 제품의 부품 원가를 부풀리는 방식으로 이익을 과대 계상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6월까지 KAI의 최대주주였던 산업은행은 대우조선해양 사태로 딜로이트안진을 업무에서 사실상 배제한 데 이어 삼일PwC도 분식회계 의혹이 사실로 규명되면 소유하고 있는 구조조정 기업의 회계감사나 재무자문을 맡기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특히 산업은행은 대우조선해양 사태로 한 차례 곤혹을 치른 경험이 있기 때문에 삼일PwC의 잘못이 확정될 경우 더욱 엄격하게 원칙을 적용할 방침이다.
KAI의 현 대주주인 수출입은행 역시 같은 입장이다. 수출입은행 관계자는 “금융감독원 감리 결과나 검찰의 수사 결과가 사실로 드러나면 삼일PwC는 회계감사나 재무자문에서 배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산은과 수은 모두 4개뿐인 대형 회계법인 중 절반을 업무에서 완전히 배제하면 업무를 중소 회계법인에 맡겨야 하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빅4’ 회계법인의 절반이 분식회계에 발목이 잡히며 수주산업의 회계처리 기준을 바로 잡아야 한다는 지적도 회계업계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회계업계에서는 대우조선해양 사태 이후 수주산업 회계처리는 균형을 잃었다고 꼬집는다. 대우조선해양의 경우 딜로이트안진에서 교체된 삼일PwC가 조금이라도 부실가능성이 있는 사업장의 충당금을 한꺼번에 쌓게 했다가 부실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올해 상반기 5년 만에 최대 영업이익을 남겼다. 영업을 잘해서가 아니라 과도하게 쌓아놓은 돈이 수익으로 잡힌 왜곡현상이 발생한 셈이다. 이에 대해 회계업계 관계자는 “회계의 원칙은 일관성인데 이를 지키지 않은 셈”이라며 “분식회계가 발생한 기업이므로 더욱 엄격하게 다뤄야겠지만 부실에 대비한 충당금은 기간별로 나눠 쌓도록 해야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감사를 받는 기업들이 회계법인에 정보를 제대로 제공하지 않는 것도 문제다. 대우조선해양이나 KAI는 모두 수주금액 조작 의혹을 받았다. 그러나 계약 후 장기간 비용이 투입되고 대금은 나중에 받는 수주산업은 제작 기간에는 전망에 근거해 현금흐름을 책정해야 한다. 기업들이 정보를 주지 않는다면 감사를 맡은 회계법인은 판단할 수 없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금융당국이 수주산업 회계기준 개선안 등을 마련했지만 실행 방안을 내놓지 않으면서 현장에서는 기존 관행을 답습하고 있다. 회계업계 관계자는 “금융위원회에서 수주산업 회계기준을 개선한다고 발표했지만 국제회계기준에서 정한 큰 원칙을 실제 적용할 수 있는 한국형 회계기준으로 바꾸지 않아 건설·조선 등 수주업계에서는 예전 관행대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재무자문에 비해 낮은 감사보수, 빠듯한 일정 등도 부실한 회계감사를 초래하는 원인으로 지적됐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취임 직후 지정감사제 확대 등을 시작으로 감사제도를 개편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다만 세부 실천 방안은 국회가 여러 건의 법 개정안을 발의하고 있어 금융위가 세부 방안을 내놓기 어려운 실정이다. /박시진·임세원기자 see1205@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