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네일 유전자 발현 을 증가시키면 TGF 신호가 극대화되어 간암이 발생하게 된다. /사진제공=한국연구재단
간경화 환자에게서 간암을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다. 한국연구재단은 노원상, 한광협 연세대 교수 연구팀이 간경화가 진행된 간에서 활성화되어 있는 티지에프-베타(TGF-β) 신호가 간암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17일 발표했다.
간경화 환자에게서 5년 내에 간암이 발생하는 비율은 10~30%로 매우 높다. 이 같은 위험에도 불구하고 아직 간경화 상태에서 간암 발생이 나타나는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세포와 조직의 기능을 조절하는 TGF-β 신호는 간경화를 일으키는 주요 인자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TGF-β 신호는 상피세포에서 세포분열을 억제하고 세포사멸을 촉진하는 대표적인 암 억제 신호경로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TGF-β 신호가 암 억제자로서 역할과는 달리 종양 발생에 필요 인자 임을 증명해냈다. 연구팀은 간암 동물 모델에서 TGF-β 신호 경로의 주요 매개체를 다양한 방법으로 차단 시켰다. 이로 인해 TGF-β 신호가 저해될 경우 간암 발생이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발견 한 것이다.
특히 연구팀은 이러한 TGF-β 종양 유발 신호가 상피세포의 특성을 감소시키고 간엽 세포의 특성을 갖게 하는 유도인자인 스네일 유전자에 의해 매개됨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TGF-β 신호가 스네일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킴을 보여주었고, 유전자 녹다운 기법으로 간암 동물 모델에서 스네일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면 TGF-β 신호를 저해할 때와 마찬가지로 간암 발생이 현격히 줄어드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연구팀은 생쥐 모델에서 발견된 TGF-β와 스네일 유전자의 종양유발 효과가 인간의 간암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노원상 교수는 “이 연구는 TGF-β 신호경로가 어떻게 종양 생성을 유도하는지를 설명하고 있다”며 “향후 TGF-β나 스네일 유전자를 표적해서 간암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임상 적용이 기대된다”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ㆍ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개인연구)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소화기학 및 간장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소화기학(Gastroenterology) 지난달 20일자에 게재됐다. /문병도기자 do@sedaily.com
노원상 연세대 교수/사진제공=한국연구재단
한광협 연세대 교수/사진제공=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