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핑+백브리핑] 中 공산당 경영 개입 가속화…상장사 8.7% 기업에 명문화

중국에서 공산당이 경영에 관여할 수 있도록 회사 정관을 수정하는 기업들이 빠르게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중국 상하이·선전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총 3,314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지난달 말까지 공산당이 기업 경영에 개입할 수 있도록 정관에 명문화한 기업이 총 288곳에 달했다고 17일 보도했다. 이는 전체 상장사의 8.7%로 해당 기업에는 중국 공상은행·중국은행, 바오산강철, 일본 도요타·혼다의 중국 합작회사인 광저우자동차그룹 등이 포함됐다.

공산당의 경영 개입을 공식적으로 명문화한 기업은 지난 2015년까지만 해도 극소수에 그쳤지만 지난해 약 50곳으로 늘었으며 올해 들어 증가세가 더욱 가팔라진 것이다.

이들 기업이 정관에 추가한 주요 내용은 △기업에서 당의 중심지위 인정 △사내에 당 조직 설립 △중요한 경영 의사결정 때 당 조직의 의견을 먼저 청취 △회사의 최고경영자(이사장)의 사내 당 조직 지도자 겸임 등이다.

신문은 중국이 공산주의 국가이기는 하지만 개인이 투자할 수 있는 상장사가 당의 기업 의사결정 관여를 용납하는 것은 이례적이라고 지적했다.


[브리핑+백브리핑] 中 공산당 경영 개입 가속화…상장사 8.7% 기업에 명문화
■공산당 경영 간섭 기업 증가 이유

習, 집권 2기 앞두고 영향력 강화

기업들은 정관 바꿔 ‘충성맹세’도

신문은 공산당의 기업 의사결정을 정관에 명문화한 사례가 4~7월에 몰려 있다며 이는 중국 정부가 올가을 열리는 제19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를 앞두고 집중적으로 재계를 압박한 측면이 크다고 지적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이번 당대회가 자신의 집권 2기를 시작한다는 의미를 지닌 만큼 ‘당의 지도력 강화’와 ‘지도체제 확립’에 노력하고 있다. 정관변경 역시 기업에 대한 당의 지배를 더욱 강화해 자신의 권력기반을 다지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는 것이다.

다만 기업들이 시 주석의 눈치를 보며 자발적으로 정관을 바꾼 측면도 있다. 시 주석은 집권 이후 철저한 반부패운동을 벌이며 경제계에 확산됐던 ‘장쩌민 전 주석파’를 몰아내고 자신의 영향력을 확대해왔다. 그 과정에서 고위경영진이 반부패 혐의로 구속되는 사건이 이어지자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정관을 변경해 공산당을 이끄는 시 주석에게 ‘충성맹세’를 하는 것이 상책이라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신문은 시 주석의 기업 압박 사례가 앞으로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변재현기자 humbleness@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