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고 싶은 의사는 충분하지만 마땅한 직업교육기관을 찾지 못하는 노인들이 속만 태우고 있다. 대학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해 평생교육기관을 경쟁적으로 설립, 운영하고 있지만 정작 노인들을 위한 직무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은 손에 꼽을 정도다.
평생교육진흥원에 따르면 평생교육을 전담하는 지자체 주도의 행복학습센터는 143곳이며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은 207개에 이른다. 하지만 노인들이 일자리를 찾는 데 도움이 될 만한 강좌는 사실상 전무하다는 게 공통된 평가다.
평생교육진흥원의 한 관계자는 “행복학습센터는 교양교육에 치우쳐 있다”며 “대학 평생교육원도 대부분 수익 창출을 위해 20대 학생을 위한 학점은행 수업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나마 보건복지부 산하 노인인력개발원에서 노인취업교육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전국 15곳에 불과하고 각 센터별 전담 직원 역시 평균 3명이라 내실 있는 교육과 홍보·취업연계 등의 서비스는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노인 대상 직업교육 시스템이 활성화되면 구직자와 구인업체가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취업 매칭 사례가 늘어날 수 있다고 말한다. 실제로 서울시 어르신취업훈련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센터 수료생의 취업률은 23%였다. 이는 서울시에서 구직을 희망하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단순 상담알선을 실시했을 때의 평균 취업률(13%)보다 10%포인트 높은 수치다.
특히 취업훈련센터 담당자들은 고령자 채용 기업을 연계하거나 기업맞춤형 교육을 수료했을 때 노인들의 취업률이 월등히 높아진다고 조언한다. 구인업체의 근무환경과 직무내용을 반영해 교육과정을 편성하는 등 기업 주도의 실무교육이 활성화돼야 하는 까닭이다.
실제로 숙박업체 야놀자는 업계에서 이례적으로 평생교육원을 운영해 1석2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야놀자 평생교육원은 취업 취약계층인 중장년층을 숙박업 전문인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설립됐다. 방송세트장 형태의 객실 5개가 설치된 교육장을 마련한 뒤 임원부터 사원까지 총 20여명의 직원이 직접 강사로 나선 결과 1기 수료생 중 75%가 취업에 성공했다.
근본적으로는 노인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취업교육 인프라가 지역을 기반으로 확산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남경아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관장은 “시니어 계층으로 편입될 베이비붐 세대는 상당수가 대졸자인 만큼 본인의 선택에 따라 복수의 직업을 가질 수 있는 교육여건이 조성돼야 한다”며 “영국의 제3기 인생대학(U3A)처럼 인생 3기에 들어선 시니어를 위한 평생학습장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진용·이두형기자 yongs@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