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금융 임추위는 전날 오후7시부터 후임 회장 내정을 논의했지만 5시간의 격론에도 불구하고 결론을 내지 못했다. 이에 따라 임추위는 다음달 8일 재논의하기로 했다. 임추위는 이미 두 번이나 파행을 겪은 만큼 세 번째 임추위가 정상적으로 결론을 내릴지도 여전히 안갯속이다.
BNK금융이 차기 회장 선출을 놓고 내홍을 겪고 있는 것은 부산상고와 동아대 인맥으로 대표되는 양대 진영이 내부 권력암투를 벌인 결과라는 분석이다. 이장호 전 회장과 후임인 성세환 전 회장은 모두 동아대 출신으로 두 전직 회장을 거치면서 동아대 라인이 BNK금융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했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인맥이던 부산상고 라인들이 밀려나 회장 교체기마다 두 진영이 서로 이해관계를 따지며 으르렁거리면서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두 진영은 부산 등 지역영업을 기반으로 해온 BNK금융의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 부산상고와 동아대 인맥이 서로 경쟁하며 영업력을 강화하면서 BNK금융은 무서운 성장기록을 세웠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타 은행들의 실적이 주춤할 당시에도 부산은행은 8%가 웃도는 자산성장률을 기록했고 국내 5대 금융지주로 발돋움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부산은행은 ‘우리가 남이가’라는 정서를 이용해 부산경남 지역에서 빠르게 성장해 국내 시중은행이 발을 들여놓을 틈을 주지 않을 정도였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양대 진영의 자존심도 강하고 후임 회장을 놓고도 서로 경쟁해왔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BNK금융의 순혈주의로 인한 부작용을 지적하는 경고음이 오래전부터 나왔다. 이장호-성세환에 이어 차기 회장 후보로 유력한 박재경 권한대행도 동아대 출신이다 보니 반대 진영이 크게 반발한 것이다.
그러다 이번에 “낙하산 인사를 통한 내부 개혁”이라는 빌미를 자초했다는 분석이다. 차기 회장에 BNK금융 역사상 첫 외부 공모로 개방한 것도 순혈주의를 깨기 위해 불가피하다는 내부 정서가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순혈주의를 고집하다 보니 내부 자정능력인 내부 통제 시스템이 없거나 망가진 상황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분위기가 확산됐다는 것이다. 금융권에 정통한 한 인사는 “현재 BNK금융에서 일고 있는 논란과 낙하산 논란은 분리해서 봐야 한다”면서 “낙하산이 안 된다는 내부 논리는 일면 수긍하지만 그렇다고 내부 인사가 정답인지는 더 따져봐야 한다”며 그동안의 순혈주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지적했다.
하지만 외부 공모를 통해 순혈주의로 인한 부작용을 깨려는 순수한 시도가 오히려 BNK금융을 더 거친 내홍으로 내모는 악순환이 됐다는 분석이다. 특히 유력한 후보 중 한 명인 김지완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이 부산상고 출신이라는 점과 현 정부의 인맥과 상당한 친분을 쌓고 있어 ‘낙하산 인사’ 논란이 증폭되면서 당초 명분이 상당 부분 퇴색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여기에 지난 4월 주가 시세 조종 혐의로 구속된 성세환 전 회장이 이날 법원의 보석 인용 결정으로 석방되면서 차기 회장 선출 구도에 영향을 미칠 변수가 될 수 있어 BNK금융의 후계구도를 놓고 논란은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BNK금융은 그룹 수장의 공백이 장기화되면서 내부나 고객 동요를 막기 위해 리스크 관리와 내부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BNK금융 관계자는 “자칫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면 최고경영자(CEO) 리스크와 결부돼 평판 리스크가 증폭될 수 있다”며 “해이해 질 수 있는 근무기강을 계속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보리기자 boris@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