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썸타는 만남 A to Z]'뽀통령' 능가하는 아쿠아리스트가 들려주는 '쿨한' 이야기

무더운 여름, 도심 속에서 아이들의 함성 소리를 가장 많이 들을 수 있는 곳은 어딜까. 놀이터? 키즈카페? 놀이동산? 정답은 바로, 바다의 축소판이라 불리는 ‘아쿠아리움’이다.

특히 무시무시한 상어떼가 있는 수조 속에서 퍼포먼스를 하고 귀여운 펭귄들을 안고 먹이 주는 이들이 등장하면 순식간에 유명 아이돌가수의 콘서트장을 방불케할 정도로 아이들의 탄성이 쏟아진다. 아이들의 대통령이라 불리는 뽀로로보다 한참 앞선 ‘대통령 할아비’라 불리는 이들, 바로 이색직업 아쿠아리스트다. 아직 대중에게는 생소한 직업이지만 미래 유망 직종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수중생물 전문가’ 아쿠아리스트의 삶은 과연 어떨까. 올해로 16년째 활동 중인 아쿠아리스트 임지언씨를 만나 눈과 귀가 ‘쿨’해지는 이야기를 들어봤다.



한화 아쿠아플라넷 63에서 만난 임지언 AQ 팀장/정가람기자
안녕하세요. 저는 16년차 아쿠아리스트 임지언(41)입니다. 현재 한화 아쿠아플라넷 63에서 AQ소속 팀장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어릴 때부터 동물을 굉장히 좋아했어요. 그런데 집에서는 마음껏 키울 수가 없었죠. 그래서 동물을 키우는 친구 집으로 놀러 가서 돌보거나 몰래 학교에서 키웠어요. ‘어떻게 해야 동물이랑 계속 생활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관련 학과가 있다는 걸 알게 됐죠. 평소 스킨스쿠버 등 수상 스포츠도 좋아해서 수산양식학과에 진학했습니다. 그리고 졸업할 때쯤 마침 국내에 대형 수족관이 많이 생기고 있던 터라 ‘이건 운명이다!’싶어 부산의 한 대형 수족관에 아쿠아리스트로 입사했어요.



한화 아쿠아플라넷 63 AQ팀 아쿠아리스트들이 메인 수조 앞에 모여 웃고 있다./성윤지인턴기자
사실 아쿠아리스트라는 말이 아직 국내에서는 생소한데요. 대형 수족관에서 수중생물을 사육·관리·연구하고 전시 등을 기획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수족관 관리자죠. 주로 수조에서 생물들과 생활하면서 수족관 환경과 수중생물의 건강을 살핍니다.



lt;BRgt;국내에는 총 250여명 정도의 아쿠아리스트들이 있어요. 한화소속 아쿠아리움 4곳에는 112명이 있고요. 저희 63 AQ팀은 총 16명입니다. 점점 늘어나는 추세죠. 해외에서는 아쿠아리스트가 이색 전문직이다보니 연봉이 매우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기업에 소속되어 있다보니 연봉도 기업 직급 체계에 맞춰져 있어요. 일반 대기업 직장인 연봉과 비슷한 수준입니다.lt;BRgt;lt;BRgt;lt;TABLE cellSpacing=5 cellPadding=0 width=507 align=LEFT bgColor=ffffff border=0gt;lt;TRgt;lt;TD style=quot;PADDING-RIGHT: 2px; PADDING-LEFT: 2px; PADDING-BOTTOM: 2px; PADDING-TOP: 2px;quot; gt;lt;TABLE cellSpacing=5 cellPadding=0 bgColor=ffffff border=0gt;lt;TRgt;lt;TDgt;lt;IMG src=quot;https://newsimg.sedaily.com/2017/08/28/1OJXD9LVOL_88.jpgquot; alt=quot;[썸타는 만남 A to Z]apos;뽀통령apos; 능가하는 아쿠아리스트가 들려주는 apos;쿨한apos; 이야기quot; border=0gt;lt;/TDgt;lt;/TRgt;lt;/TABLEgt;lt;/TDgt;lt;/TRgt;lt;/TABLEgt;lt;BRgt;lt;BRgt;입사 초기에 ‘기인’으로 방송에 소개된 적이 있었어요. 직업 인터뷰가 아니라 ‘이색 동물을 키우는 사람’으로요. 당시 잘 키우지 않는 독거미, 뱀, 이구아나, 지네 등 특이한 동물을 많이 키웠죠. 퇴근후에도 가장 좋아하는 활동은 여전히 동물 관련된 활동을 하는 것이에요. 24시간 동물과 함께하는 ‘동’물아일체 라이프 부럽지 않나요?(웃음)lt;BRgt;lt;BRgt;lt;TABLE cellSpacing=5 cellPadding=0 width=540 align=LEFT bgColor=ffffff border=0gt;lt;TRgt;lt;TD style=quot;PADDING-RIGHT: 2px; PADDING-LEFT: 2px; PADDING-BOTTOM: 2px; PADDING-TOP: 2px;quot; gt;lt;TABLE cellSpacing=5 cellPadding=0 bgColor=ffffff border=0gt;lt;TRgt;lt;TDgt;lt;IMG src=quot;https://newsimg.sedaily.com/2017/08/28/1OJXD9LVOL_89.jpgquot; alt=quot;[썸타는 만남 A to Z]apos;뽀통령apos; 능가하는 아쿠아리스트가 들려주는 apos;쿨한apos; 이야기quot; border=0gt;lt;/TDgt;lt;/TRgt;lt;/TABLEgt;lt;/TDgt;lt;/TRgt;lt;/TABLEgt;lt;BRgt;lt;BRgt;흔히 아쿠아리스트는 다 외향적이라고 생각하는데 그렇지만은 않아요. 쇼맨십을 요구하는 물범이나 돌고래 등을 전담하는 아쿠아리스트는 대부분 활동적인 성격이고요. 반면 산호초나 해파리 등 무척추 생물을 담당하는 아쿠아리스트들은 상대적으로 차분하고 내성적인 사람들이 많아요. 아무래도 자신의 성격에 맞는 생물을 선호하고 전담하니까 더 그런 것 같기도 해요. lt;BRgt;lt;BRgt;lt;TABLE cellSpacing=5 cellPadding=0 width=540 align=LEFT bgColor=ffffff border=0gt;lt;TRgt;lt;TD style=quot;PADDING-RIGHT: 2px; PADDING-LEFT: 2px; PADDING-BOTTOM: 2px; PADDING-TOP: 2px;quot; gt;lt;TABLE cellSpacing=5 cellPadding=0 bgColor=ffffff border=0gt;lt;TRgt;lt;TDgt;lt;IMG src=quot;https://newsimg.sedaily.com/2017/08/28/1OJXD9LVOL_90.jpgquot; alt=quot;[썸타는 만남 A to Z]apos;뽀통령apos; 능가하는 아쿠아리스트가 들려주는 apos;쿨한apos; 이야기quot; border=0gt;lt;/TDgt;lt;/TRgt;lt;/TABLEgt;lt;/TDgt;lt;/TRgt;lt;/TABLEgt;lt;BRgt;lt;BRgt;lt;table class=quot;video_contentsquot; border=quot;0quot; cellspacing=quot;10quot; cellpadding=quot;5quot; bgcolor=quot;#ffffffquot; align=quot;centerquot;gt;lt;tr bgcolor=quot;#ffffffquot;gt;lt;tdgt;lt;iframe width=quot;560quot; height=quot;315quot; src=quot;QadYtysdz7c" layout="responsive" width="355" height="218">


아쿠아리스트들이 가장 관심있고 잘 돌볼 수 있는 생물을 전담하도록 하는데 대체적으로 호불호없이 다 좋아하는 편이에요. 그래서 수족관 상황에 따라 랜덤하게 정해지죠. 또 전담 생물이 정해지면 아쿠아리스트가 교체를 원하지 않는 이상 잘 안바꿉니다. 정 들면 생물도 사육사도 새로 적응해야 해서 좋아하지 않거든요.



어릴 때부터 ‘새줍(새를 줍는다)’능력이 있어요. 날아가는 새를 어떻게 줍냐고요? 길을 가면 제 머리나 발 밑에 새가 막 떨어졌어요. 소위 ‘하늘을 나는 새도 떨어뜨리는 사람’이라는 표현을 쓰는데 제가 딱 그런 사람이었죠. 나중에 공부해서 알아보니 비밀을 알게 됐어요. 저에게 비범한 능력이 있는 게 아니라 새가 떨어지는 시기를 경험적 타이밍에 맞춰서 지나갔던 거예요. 새들이 태어나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이소(離巢)’를 하는데요. 새가 자라면 어미로부터 독립하기 위해서 둥지에서 떠나는 거죠. 물론 새를 주우면 둥지를 찾아 주거나 다친 새는 치료해서 자연으로 방사했죠.



사람이든 동물이든 곁에서 ‘죽음’을 지켜볼 때 가장 힘들죠. 특히나 수중 생물들이 저희에겐 가족만큼 오랜 시간 함께 생활하는 동반자인데 갑자기 사라지면 그 공허함과 상실감을 견뎌내기가 무척 힘들죠. 일명 펫로스 증후군(Pet loss syndrom·반려동물이 죽은 뒤에 경험하는 상실감과 우울 증상)을 자주 겪으니 그게 가장 힘들어요. 특히 원인 불명으로 급사한 경우 연구목적으로 사체 해부를 해야 하는데 얼마 전까지 함께 지내던 친구의 배를 갈라야 하는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죠.



아무래도 요즘은 전문성을 살린 직업들이 각광 받는 것 같아요. 특히 해외에서는 아쿠아리스트가 정년이 없는 이색 전문직으로 불려 인기직종으로 꼽히죠. 은퇴해서도 경험적 노하우와 지식을 바탕으로 동물 전문 연구가로 활동할 수 있기 때문에 미래 유망 직종이라고 생각해요.



자연복원에 관심이 많아요. 최근 살충제 계란사태를 비롯해서 동물 및 자연 환경 이슈가 계속 발생하잖아요. 비록 수족관 생물들도 갇혀있지만 그 속에서 잘 살 수 있도록 복지와 환경을 개선해주는 것이 제 업인 것 같아요. 그래서 틈틈이 수족관 환경과 자연 복원 관련해서 계속 공부하는 중입니다.



임팀장은 “좋아하는 일도 막상 업이 되면 싫어진다는데 저는 매우 만족스러운 삶을 살고 있다”며 행복한 미소를 보였다. /성윤지 인턴기자
물 속에서 근무하면 체력소모가 굉장히 커요. 특히 다이빙을 자주 하니까 중이염이나 기관지 관련 질병에 취약하거든요. 그동안 수중생물들의 건강을 위해 열심히 달려왔는데 이제는 제 건강도 좀 챙기면서 함께 ‘윈·윈’하려고 노력 중이에요.

/정가람기자·성윤지인턴기자 garamj@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