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중요한 것은 노조의 태도다. 현재 현대차가 처한 상황은 노사가 똘똘 뭉쳐도 위기를 타개한다는 보장이 없다. 이런 위기 속에서도 현대차 노조는 임단협과 관련해 올 들어 8차례나 파업을 벌였다. 이로 인한 생산 차질만 3만8,000대에 달하고 피해 금액은 8,000억원에 이른다. 더 가관인 것은 노조의 요구조건이다. 노조는 자동차 산업의 위기 속에서도 월급 15만3,883원 인상과 전년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정년 65세 연장 등을 굽히지 않고 있다. 이 와중에 노조 새 집행부 선거로 임단협 교섭은 잠정 중단됐다. 그 어디를 봐도 노조의 위기의식은 느껴지지 않는다. 노조는 지난해 임단협 조인식에서 “과거와는 다른 모습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혔지만 결국 공염불이 됐다.
중국의 사드 보복이 아니더라도 현대차는 급속하게 진행되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해야 하는 절박한 과제를 떠안고 있다. 기술이 급변하면서 세계 시장에서는 테슬라를 비롯한 새 강자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어 현대차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 생존 자체를 장담하기 어렵다. 이런 때에 노조가 기득권 지키기에 급급한다면 쇠락의 길을 재촉할 뿐이다. 이제라도 노조는 회사를 살릴 방안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회사가 있어야 노조도 존재할 수 있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