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북핵 리스크 실물경제 전이 안되게 만전 기해야

북한의 6차 핵실험으로 인한 한반도 안보위기가 금융시장을 덮쳤다. 원화 가치가 곤두박질치고 주식시장도 개장 초기의 낙폭을 만회하지 못한 채 1% 이상 떨어졌다. 국가 신용위험도인 신용디폴트스와프(CDS) 프리미엄도 4거래일 만에 상승해 대외 리스크에 대한 경고음이 켜졌다. 시장에서는 북핵 리스크가 단발성에 끝난 과거와 다른 양상으로 비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고개를 들고 있다.


시장의 긴장감에 정부도 위기대응 강도를 격상했다. 정부는 4일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어 당분간 24시간 비상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이 회의는 통상 기재부 1차관이 주재하지만 엄중한 경제상황을 고려해 김 부총리가 직접 회의를 이끌었다.

북핵 리스크로 금융시장이 흔들린 것은 한두 번이 아니었지만 대부분 일시적으로 끝났다. 그러나 이번 지정학적 리스크는 북미 간 직접적인 대결구도라는 점에서 과거의 양상과 사뭇 다르다. 9일 북한 정권수립일을 전후로 추가 도발도 예상된다. 더 큰 문제는 그동안 단기충격이 겹겹이 쌓여 누적 리스크가 커졌다는 점이다. 내수 회복이 더딘 상황에서 대외 리스크 결합은 치명적이다. 사드 보복으로 대중 수출전선에 먹구름이 낀 가운데 미국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폐기를 들먹이고 있다.

경기 회복세가 주춤한 상황에서 금융시장 불안이 실물경제로 전이되면 설상가상이다. 한때 나아지는 듯했던 소비심리가 다시 위축되고 최저임금 인상과 잇단 규제로 투자 여력마저 약화하고 있다. 이 바람에 성장률은 다시 0%대로 주저앉았다. 대외 악재가 한꺼번에 들이닥쳐 복합위기로 발전하지 않도록 리스크 관리에 나서야 할 시점이다. 제때에 강력하게 초동 대처한다는 각오로 임해야 한다. 정치권도 경제를 위축시킬 경솔한 발언이나 섣부른 정책을 삼가기 바란다. 비상한 시국임을 한시도 잊어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