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불황으로 기업도산 급증하는 암울한 현실

불황에 쓰러지는 기업들이 해마다 늘고 있다. 19일 대법원이 펴낸 ‘2017 사법연감’에 따르면 지난해 기업 파산은 740건으로 2012년 이후 가장 많았다. 기업 파산은 2012년 396건에 불과했으나 경기가 좀처럼 되살아나지 않으면서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다. 2013년 416건, 2015년 540건에서 지난해에는 740건으로 껑충 뛰었다. 불과 4년 사이 두 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빚으로 연명하는 한계기업도 급증하고 있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전체 산업에서 한계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9.34%에서 2015년에는 12.7%로 급증했다. 중소기업의 경우는 상황이 심각하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기준으로 전체 중소기업의 15%를 한계기업으로 분류했을 정도다. 이런 실정인데 올해 경제사정이 나아지기는커녕 힘들어지고 있어 걱정이다. 북핵 위기에다 중국의 사드 보복마저 노골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가 이달 초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경제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태”라고 진단한 이유가 있다. 사드 보복에 무방비로 노출된 기업의 상당수는 매출 타격에 중국 시장 철수까지 고려하는 등 최악의 상황에 처해 있다. 피해는 유통·자동차를 넘어 화장품·식품 등 산업 전반으로 퍼지고 있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파산에 직면하는 기업도 나올 수 있다.

이처럼 기업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는데도 청와대와 정치권은 기업 부담을 가중시키는 정책·법안만 쏟아내고 있다. 기업과 경제가 죽어도 상관없다는 것인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정부와 국회는 위기에 처한 우리 기업과 한국 경제의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투자·고용의 주역인 기업의 기를 살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 정기국회에서 서비스산업발전법과 규제프리존법 등 경제 활성화 법안을 조속히 통과시켜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