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회동이 성사된다면 문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두 달 만에 청와대에서 만나는 것이어서 기대가 크다. 다만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회동에 불참하겠다는 의사를 굽히지 않아 성사 여부는 불투명하다고 한다. 여야가 대북 제재에는 원칙적으로 공감하면서도 인도적 지원이나 전술핵 무장 같은 구체적인 접근방식에서 시각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럴수록 청와대가 적극적으로 나서 야권을 설득하고 포용하는 모습부터 보여야 한다. 청와대 회동에서 들러리를 서지 않겠다는 야당의 입장을 배려하고 최대한 명분을 살려주는 통 큰 정치력을 발휘하는 것도 필요하다. 홍 대표도 무조건 회동을 거부할 게 아니라 안보 문제에 관해 따질 것은 치열하게 따지면서 접점을 찾아 나가는 책임 있는 야당의 모습을 보여야 한다.
작금의 한반도는 일촉즉발의 위기 상황이다. 리용호 북한 외무상은 유엔총회에 나와 ‘책임감 있는 핵보유국’을 과시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는 선제타격 조짐만 보이더라도 미국은 물론 그 주변국에 대해 무자비한 핵·미사일 공격에 나서겠다고 협박했다. 이에 맞서 미국의 전략폭격기 B-1B 랜서가 휴전선 최북단에서 무력시위를 벌인 것도 심상찮은 일이다. 주말에는 북한 핵실험장 인근에서 지진이 감지돼 주변국이 한때 긴장하는 소동이 벌어졌고 북한이 7차 핵실험이나 미사일 도발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도 무성하다. 언제 어떤 사태가 터지더라도 조금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다.
이럴 때일수록 문 대통령과 여야 대표들이 만나 안보 불협화음을 걷어내고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 그래야만 김정은의 무모한 도발 의지를 꺾고 한반도 평화를 지켜낼 수 있을 것이다. 국민은 정치 지도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국가 안보를 논의하는 모습을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