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외선 쪼이면 접착... 꿰매지 않는 수술용 봉합제 개발

미 연구진 ‘사이언스 중개의학’에 발표... “임상시험 착수”

상처 부위를 꿰매지 않고 간단히 붙이는 접착제가 개발됐다. 신축성이 있으면서 독성은 없어 수술용 봉합제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노스이스턴대와 하버드의대 등 공동연구진은 단백질인 ‘엘라스틴’을 기반으로 이 같은 접착제를 개발했다고 4일(현지시간) 밝혔다.

연구 결과는 이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중개의학’(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에 실렸다.

일반적으로 파열되거나 찢어진 조직 및 장기를 봉합할 때는 흔히 스테이플러를 쓰거나 실로 봉합한다.

이런 봉합은 감염의 원인이 돼 오히려 조직이 손상되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또한 끊임없이 수축·팽창 운동을 하는 폐나 심장 등은 봉합 부위가 이 움직임을 따라가지 못해 치료에 어려움을 겪었다.

연구진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신축성이 있는 접착제를 고안했다.

사람의 피부와 동맥 등의 조직에 탄성을 주는 단백질인 엘라스틴을 쓰면 신축성이 있는 접착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연구진은 살아 있는 쥐의 폐와 동맥의 절개 부분이 이 물질을 적용하고 여러 날을 관찰한 뒤 봉합 부위가 제대로 아무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돼지 폐의 절개 부위에 적용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연구진은 “이 접착제가 수술용 봉합제로 쓰일 수 있길 기대한다”면서 “조만간 사람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경미기자 kmkim@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