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동시다발 리스크에도 위기의식 없는 정부

우리 경제에 비상등이 켜졌다. 국내외에서 안보·경제 악재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경제 상황은 그야말로 사면초가다. 국내적으로는 눈덩이 가계부채에다 사상 최고 수준인 청년실업률 등 어느 것 하나 만만한 게 없다. 대외 리스크는 쓰나미급이다. 북한의 핵폭주로 안보 위기는 최고조에 달해 있고 중국의 사드 보복에 미국의 통상압박까지 노골화하고 있다.


나아지지 않는 국내 경제사정과 맞물려 10월 위기설까지 고개를 들고 있으니 걱정이다. 이대로 가다가는 1997년의 외환위기가 재발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들린다. 우리 경제가 중대기로에 직면했다는 얘기다. 외환위기를 겪은 전직 경제관료들이 바라보는 한국 경제의 현실은 살얼음판 그 자체다. 서울경제신문이 최근 만난 전직관료들은 “현재 상황이 20년 전보다 좋지 않다”고 이구동성으로 지적했다.

해외에서도 경고음이 나오고 있다. 볼프강 쇼이블레 독일 재무장관은 8일(현지시간) “세계적으로 부채와 유동성이 증가하면서 새로운 글로벌 금융위기가 초래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국을 넘어 글로벌 경제 전체가 요동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급박한 상황임에도 정부는 정작 위기의식을 느끼지 못하는 것 같아 우려스럽다. 기업의 기를 살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는커녕 기업 발목을 잡는 정책을 쏟아내기 바쁘다. 노동개혁 등 구조개혁은 지지부진하다.

북핵 위기가 고조되는 와중에도 적폐 청산을 이유로 과거사 의혹을 캐는 데 열심인 국방부를 보면 경각심이라도 있는 건지 의문이 들 정도다. 이러니 ‘코리아 패싱’이라는 말이 나올 수밖에 없다. 안팎 악재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 한국 경제가 낭떠러지로 떨어지는 것은 시간문제다.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할 때다. 적폐나 과거 청산에 몰두할 여유가 없다. 미래를 위한 구조개혁과 안보전략 수립에 나서는 것이 지금 정부가 할 일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