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일수록 고-저소득 자녀간 사교육비 격차도 커져"

서울의 경우 고소득 가구 사교육비 저소득의 5.54배
광역시 4.25배, 중소도시 4.37배, 읍·면 지역 3.79배

고소득과 저소득 가정 사이 자녀 사교육비 격차가 사는 곳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공교육을 강화해 사교육비 양극화를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이 12일 나왔다./연합뉴스
고소득과 저소득 가정 사이 자녀 사교육비 격차가 사는 곳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박경미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이 통계청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결과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똑같이 서울에 거주할 경우 월소득 600만 원 이상인 가구는 200만 원 미만 가구보다 사교육비에 5.54배 더 돈을 썼다. 거주지가 광역시일 경우엔 격차가 4.25배로 줄었고 중소도시는 4.37배, 읍·면 지역은 3.79배로 나타났다.


서울 거주 월 소득 600만 원 이상 가구 평균 사교육비는 자녀가 초등학생이면 42만 6,000원, 중학생이면 57만 2,000원, 고등학생이면 68만 7,000원에 달했다. 읍·면 지역 거주 월소득 200만 원 미만 가구 평균 사교육비는 초·중·고 각각 7만 4,000원, 7만 2,000원, 8만 2,000원으로 나타나 서울 월소득 600만 원 이상 가구의 12%~17% 수준이었다.

소득, 성별, 성적, 진학희망 고등학교 등이 같다고 가정하면 서울에 살아 추가로 유발되는 사교육비는 초등학교 수준에서 7만 1,000원, 중학교 12만 8,000원, 고등학교(일반계) 23만 7,000원으로 조사됐다. 같은 방식으로 분석할 경우 소득이 700만 원 이상이라고 하면 추가로 유발되는 사교육비는 초등학교 12만 1,000원, 중학교 16만 1,000원, 고등학교 18만 5,000원이었다. 고등학생일 경우 가구 소득보다 서울 거주 여부가 사교육비 지출을 늘리는 데 더 큰 영향을 미친 셈이다.

박 의원은 “소득수준과 사는 곳에 따라 사교육비 격차가 심화하면서 사교육이 계층을 공고화하는 주요 수단이 됐음이 실증됐다”며 “교육 사다리가 복원되려면 공교육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지형인턴기자 kingkong93@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