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캘리포니아 산불 7일째 지속...산림 속 주택단지 조성이 화 키워

대형 산불로 전소된 캘리포니아 산타로사 벨라비스타웨이 주택가. 군데 군데 남은 벽돌 기둥만이 주택가가 자리했던 지역임을 알려주고 있다./산타로사=UPI연합뉴스
지난 8일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 나파밸리에서 시작된 산불이 강풍을 타고 주변부로 확산하면서 7일째 지속되고 있다.

산불로 인한 사망자 수도 최소 31명 이상으로 늘었고 실종자 수 역시 400명을 넘어섰다. 건조한 날씨로 불길은 좀처럼 잡히지 않으면서 산불은 일주일째 맹위를 떨치고 있다.

이번 산불은 지난 8일 밤 시작돼 미 캘리포니아 북부를 초토화하고 있다. 십 수 개의 불길이 아직 잡히지 않아 인명 및 재산 피해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400명의 실종자도 소노마 카운티 한 곳의 집계 결과다. 또 3,500여 채의 건물이 소실되고 주민 2만여 명이 의무 대피 명령을 받고 대피소에 머물기도 했다.

공식 명칭이 ‘텁스’로 명명된 이번 산불이 순식간에 번진 것은 강풍이 가장 큰 원인이다.

8일 밤 9시 43분께 와인 산지로 유명한 나파밸리의 작은 도시 칼리스토가 인근에서 시작된 산불은 시속 60마일(80㎞)의 강한 바람을 타고 불과 세 시간 만에 소노마 카운티의 중심도시인 인구 17만5,000 명의 샌터로사시에 다다랐다.

12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북부 소나마 카운티 샌타로자에서 한 소방관이 산불로 폐허로 변한 주택가를 조사하고 있다. /소노마=AP연합뉴스



야생 산림 지대를 무분별하게 전원 주택단지로 바꾸면서 피해가 더욱 커졌다는 분석이다. 실제 이번 화재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샌터로사 파운틴 그로브 지역은 20년 전 산 속에 개발된 신흥 전원주택 단지다.

뉴욕타임스(NYT)는 “야생 초지에 주택단지가 들어서면 현대적 도시를 만들 수 있지만 산불에는 취약하다는 것이 입증됐다”면서 “소각된 주택 중 상당수는 미개발 야생지대와 가깝거나 혼합된 야생-도시 접목지점에 있었다”고 말했다.

미국 서부의 고급 주택들은 주로 산 중턱에 위치하지만 대개 띄엄띄엄 지어져 있어 대형 참사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하지만 샌터로사 파운틴 그로브 단지는 집들이 비교적 촘촘히 붙어 있고 상업시설까지 들어서 피해가 커졌다.

12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칼리스토가 인근에서 한 소방관이 여전히 맹위를 떨치는 산불과 싸우고 있다./칼리토스=AFP연합뉴스


위스콘신 매디슨 대학의 산림 야생 생태학 교수인 볼커 라델로프 박사는 “산불이 집들을 태워버리는 것으로 시작했지만 나중에는 이 집들이 산불을 더 확산시키는 연료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6년간의 가뭄 끝에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4월까지 홍수가 날 정도로 큰비가 오면서 야생지의 초목이 울창하게 번진 것도 산불 확산에 일조했다. 게다가 최근 습도가 한 자릿수로 접어들며 대형 산불에 적합한 최적의 조건이 완성됐다.

한편 이번 산불은 캘리포니아주 역대 최악의 화재였던 1933년 로스앤젤레스 그리피스 파크 화재 사망자 수 29명을 훌쩍 넘어서며 캘리포니아주 역사상 최악의 산불 기록을 세우게 됐다. /김희원기자 heewk@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